국가 사적으로 지정된 안성 도기동 산성 주변서 고구려 유구가 발굴됐다.
30일 안성시에 따르면 시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된 ‘도기동 산성’ 문화재보호구역 주변에 대한 문화재 발굴조사를 통해 고구려 시대 유구를 확인했다.
중앙문화재연구원이 담당한 이번 발굴조사는 도기동 산성을 구성하는 구릉의 남동사면 하단부를 대상으로 산성과 관련 유적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다.
이 지역은 도기동 산성이 발견되던 당시 목책열과 토루, 저장구덩이 등이 확인됐던 유적과 인접해 도기동 산성 범위에 들어갈 것으로 추정됐었다.
이번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구 중에는 지반을 네모꼴로 굴착해 내부공간을 마련하고 그 외곽을 목재로 결구해 만든 구조물이 확인됐는데 저장시설인 목곽고로 추정됐다.
화재로 폐기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목곽고 내부에선 고구려 토기도 함께 출토돼 도기동 산성이 백제 한성기에 축조됐다 고구려가 남진하는 교두보로써 점유, 운영한 시설이었음을 재차 확인했다.
이와 함께 구릉의 사면부를 계단식으로 굴착해 흙을 쌓아 올린 토루와 그 상부에 목책을 세운 기둥자리인 목책열도 확인됐다. 기존에 조사된 산성 내부의 목책열과 산성 보호구역 밖 목책열을 서로 연결하는 양상을 보여 도기동 산성 범위가 사적으로 지정된 문화재 보호구역보다 훨씬 넓음을 알려준다.
도기동 산성은 4~6세기 백제 한성기부터 고구려가 남진한 시기에 사용된 산성으로, 당시 고구려가 안성에 거점을 두고 남진한 루트를 밝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역사·학술적 가치가 높은 유적으로 인정받아 지난 2016년 사적으로 지정됐다.
시 관계자는 “이번 도기동 산성 주변유적 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성 구조와 분포범위 등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역사문화 향유공간 정비와 문화재 보호구역 확장을 위한 조사·연구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성=박석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