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공실률 14.4%’ 달해...도심 낙후·상권 세분화도 한 몫 市 “위기 인지… 지원책 마련 중”
안양의 대표적 번화가였던 안양역 상권의 침체가 깊어지고 있다. 코로나19로 이용객들이 크게 줄고 상가 공실률은 치솟고 있는데다 침체 장기화가 이어지고 있어 상권 활성화 대책이 시급하다.
4일 오후 2시20분께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안양역 바로 옆 3층짜리 건물. 해당 건물 출입문에는 2~3층을 임대한다며 공인중개사사무소 연락처가 적혀 있었다. 주변 상가 곳곳에도 빈 점포가 눈에 띄었다. 굳게 닫힌 유리문에는 ‘철거 전문’, ‘상가 인테리어’, ‘주인 직접 문의’ 등의 문구가 적힌 스티커가 붙어 있었다. 이곳에서 돈까스 가게를 운영하는 한 상인은 “사람들의 발길이 끊긴데다 임대료도 높아 전부 가게를 옮기고 있다”고 호소했다.
부동산업계는 도심이 낙후되고 상권 분산, 경기 침체 등 복합적으로 작용해 상권 위축을 부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안양만안지회 관계자는 “안양역 인근 상권은 이제 구도심 상권이 된 데다, 코로나19 이후 빠르게 활기를 잃어가고 있다”며 “상권 세분화 등의 여파가 안양역 주변 상권 침체에 한몫했다”고 말했다. 이어 “상권은 죽어가고 있는데, 임대료는 높아 상인들은 빠지고, 새로 장사를 한다는 사람도 없다”고 덧붙였다.
국가공인통계조사도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안양역 중대형 상가의 공실률은 14.4%에 달한다. 경기도의 평균 공실률(11.4%)보다 3%p 높다. 같은 기간 안양역 상가 임대료는 1㎡당 4만900원으로 경기도 평균 임대료(2만6천600원)보다도 높다. 한국관광공사의 데이터랩 통계를 보면 안양역 상권이 있는 안양 만안구의 지난해 소비는 지난 2020년 대비 10.7%p 줄었다.
안양시는 안양역 상권 쇠락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한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안양역 상권 침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상권을 살리기 위해 여러 대안들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양=박용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