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 DMZ기억의 전당→시립DMZ 기억의 박물관 변경 추진 市, 국가 귀속 문화재 반환 쉬워...2025년전까지 문체부 승인 요청
파주시와 문화체육관광부의 DMZ 기억의 전당건립사업이 ‘파주시립 DMZ기억의 박물관’으로 변경돼 추진된다.
시립박물관이 없는 파주에서 발굴된 보물급 매장 문화재들이 국립중앙박물관 등지에 반출·귀속된 뒤 반환받을 수 있는 점을 감안한 조치로 분석된다.
10일 파주시에 따르면 시는 민선8기 공약에 기존의 DMZ 기억의 전당건립사업을 ‘파주시립 DMZ기억의 박물관’으로 변경 추진키로 확정했다. 앞서 파주시는 강원도 등 접경지역과 경쟁 끝에 임진각에 DMZ 기억의 전당을 유치 (본보 1월12일자 1면), 현재 기본계획수립을 용역 중이다.
그동안 문체부는 접경지역에 조성하려던 국립 DMZ 기억의 박물관은 기재부의 반대로 애초 국립에서 공립, 명칭도 기억의 전당 등으로 바꿨다. 파주시는 이를 공립에서 시립, 명칭도 DMZ 기억의 전당에서 시립 DMZ기억의 박물관 등으로 성격을 달리해 추진키로 한 것이다. 파주 역사박물관도 겸하기로 했다.
건립(안)에 따르면 경기관광공사가 무상으로 제공하는 임진각 일원에 문체부 관광기금 240억원과 시비 240억원 등 모두 480억원을 들여 오는 2027년까지 건립한다. 규모는 연면적 1만5천200㎡에 지하 1층~지상 3층이다.
시는 기본계획 수립용역에서 적정성 검토, 부지·유물 확보, 전문인력(학예사)조직 구성, 전시 콘텐츠 등을 종합 심사한 후 오는 2025년 이전까지 문체부에 승인을 요청하고 오는 2027년 상반기까지 건립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 1966년부터 반세기 동안 운정지구 시굴·발굴조사 당시 출토된 유물들은 10만점에 이르고, 학술적 가치가 높은 구석기시대 도끼류와 고려시대 청자류 등은 국립중앙박물관에 귀속되는 등 국가가 관리하는 등록 파주 유물(매장 문화재)은 모두 7천여점에 이른다. 나머지 손상된 유물들은 시굴·발굴조사에 참여했던 한양대와 서울대 등 외부기관 20여곳으로 반출됐다.
서영일 (재)한백문화재연구원장은 “시립박물관 성격은 처음 설계부터 국가귀속 문화재를 반환받을 수 있도록 하는 1종 전문박물관을 염두에 둬야 한다. 그래야 유물 대여와 반환 등에 유리하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 파주지역 유물이 외부기관에서 더부살이해야 하는 것을 끝내야 한다는 차원에서 시립 DMZ기억의 박물관으로 변경, 추진키로 했다”면서 “정부의 DMZ 과거 및 미래적 가치 표현 컨셉트와 파주역사박물관이 함께 공존하는 박물관으로 될 것”이라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