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특례시, 100개소 이정표 대상, 팔달산 청사 문구에 스티커 부착 해당 자리엔 추후 타 명칭 기재
경기도청이 광교신청사로 이전했지만 여전히 시내 곳곳의 도로 표지판이 옛 청사를 가리키고 있다는 지적(경기일보 6월24일자 6면)에 수원특례시가 가림막 스티커를 부착하는 등 개선 작업을 완료했다.
10일 수원특례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6일 1천5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잘못 표기된 표지판 100개소를 대상으로 옛 팔달산 청사를 안내하는 문구에 가림막 스티커를 부착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앞서 지난 5월 말 팔달산 부근에 자리 잡았던 도청이 광교신청사로 이전한 지 한 달이 지났음에도 관내 표지판은 옛 도청사를 가리키고 있어 시민 불편이 초래됐다. 일례로 수원역 방향의 매산사거리를 거쳐 도청오거리에 다다르면 표지판은 좌측의 옛 청사를 가리키는 등 문제점을 드러냈다.
뿐만 아니라 지난 2018년 공사 착공 등 경기도청의 광교신청사 시대가 예고된 지 한참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시는 이렇게 표기된 표지판의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해 뒷북 행정이라는 비판을 샀다.
본보의 이 같은 지적에 수원특례시가 곧장 전수조사에 나선 결과, 옛 팔달산 청사로 표기된 관내 크고 작은 100개의 이정표를 파악했다. 이어 사안의 시급성을 고려, 올해 본 예산에 관련 재정을 편성하지 않았음에도 ‘시설유지관리’ 예산을 차용해 수정했다.
이로써 수원역을 기점으로 구 도청으로 잘못 안내하던 표지판 문구는 스티커를 부착해 없어졌다. 해당 자리엔 추후 주요 지점에 따른 다른 명칭을 넣을 예정이다.
수원특례시 관계자는 “예산 활용처를 확인해보니 시설유지관리 항목의 예산을 쓸 수 있었다”며 “시민들의 혼란을 방지하고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히 작업을 마쳤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시는 도로 표지판을 포함해 팔달산 청사 주변 버스정류장의 명칭을 신청사 이전 시기에 맞춰 ‘(구)도청오거리’로 변경했고 버스 안내 멘트까지 모두 수정했다.
박병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