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 이권재 시장 “공무원 행안부 기준 대비 245명 많아”

21일 이권재 오산시장이 시청 상황실에서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한다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오산시 제공

오산시 공무원 수가 행안부 인건비 대비 245명이 많고 인건비도 182억원 초과 집행돼 재정위기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 출연기관과 민간단체 위탁 및 지원경비 증가와 무분별한 국‧도비 매칭사업도 재정운용의 압박요인으로 분석됐다.

이권재 시장은 21일 상황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 재정상황을 심각한 재정위기상태로 규정하고 세출 재구조화와 함께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시가 밝힌 ‘민선7기 재정분석 자료에 따르면 시 공무원(일반직, 임기제, 청원경찰, 공무직)은 지난 2018년 979명에서 올해 1천213명으로 234명 늘었다. 인건비도 549억원에서 834억원으로 285억원 증가했다.

이는 행안부가 내시한 본예산 편성 시 기준인건비 비중을 13.6% 초과(245명, 182억원)한 수치로 경기도 31개 시‧군 평균(11.7%)보다 높다. 행안부는 올해 오산시 공무원 인건비를 968명에 652억원이 적절하다고 내시했었다.

시설관리공단 전출금도 지난 2018년 138억원에서 올해 153억원, 교육‧문화재단 출연금도 지난 2018년 83억원에서 지난해 117억원으로 늘었다. 종합복지관을 비롯해 민간위탁시설 위탁경비도 지난 2018년 248억원에서 올해 439억원으로 연평균 15.4% 증가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시는 지난해 지방채 269억원을 발행해 아이드림센터(50억원), 반려동물테마파크(49억원), 하나울복지센터(25억원), 미니어처(20억원), 세교배드민턴장(20억원) 등 8개 국‧도비 매칭 보조사업을 추진해 재정상태를 악화시켰다.

이 시장은 “그동안 교육‧복지‧관광분야 집중 투자 및 위탁정책으로 인건비와 유지관리비 등 고정비용이 증가했고 무분별한 국‧도비 보조 사업추진으로 재정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이 상태로 가면 오는 2026년에는 가용재원이 0원으로 재정파탄 상태가 된다. 조직 개편과 기구 통폐합 등으로 공무원을 재배치하고 공공기관 및 민간위탁기관에 대한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오산=강경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