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 뒷전’ 개점휴업 도의회… 기약 없는 추경 처리

민선 8기 道·11대 도의회 출범 한 달
여야 대립·경제부지사 사퇴 등 논란 속 원 구성·추경안 지연...주요 현안 산적
도내 곳곳 정상화 요구 목소리 빗발쳐

image
경기도의회가 원 구성 협상을 둘러싼 여야 간 갈등으로 파행을 겪으면서 ‘개점휴업’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진은 31일 오후 잿빛 하늘과 경기도의회 모습. 조주현기자

민선 8기 경기도와 제11대 경기도의회가 출범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좀처럼 ‘개점휴업’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도의회가 원 구성 협상을 둘러싼 여야 간 이견으로 파행을 겪는 가운데 김용진 경제부지사 역시 ‘술잔 투척 논란’ 이후 전격 사퇴하면서 도정과 의정 활동 정상화 시기가 미궁에 빠지게 됐다.

31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1일 취임한 뒤 민생경제 회복을 목표로 1조4천387억원이 늘어난 35조423억원 규모의 2022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지난 21일 도의회에 긴급 제출했다.

추경안에는 앞서 김 지사가 취임 직후 결재한 ‘비상경제 대응 민생안정 종합계획’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지역화폐 발행 지원, 도내 소상공인 대출 상환 부담 경감 등 각종 예산이 담겼다.

이 밖에도 민생경제를 위한 다양한 사업 예산이 추경안에 담겼지만, 정작 처리는 계속해서 미뤄지고 있다. 도의회 여야가 원 구성을 놓고 대립하면서 지난 12일과 19일, 25일에 각각 예정된 ‘제361회 임시회’의 1~3차 본회의가 모두 무산됐기 때문이다. 본회의가 무산되면서 추경안 처리 역시 기약 없는 기다림에 놓인 상태다.

김 지사가 경제위기를 해결하고자 꺼내든 경제부지사 카드 역시 도의회 파행 장기화에 악영향을 끼쳤다. 경제부지사 신설 등의 내용이 담긴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6월 10대 도의회 막바지에 긴급으로 처리된 것을 두고 11대 도의회 국민의힘이 거세게 반발하는 탓이다.

특히 김용진 부지사가 공식 취임 하루 전에 도의회 양당 대표와 함께한 저녁 자리에서 불미스러운 행동을 벌인 것도 논란에 불을 붙였다. 도의회 국민의힘은 술에 취한 김 부지사가 홧김에 술잔을 던졌다고, 민주당은 수저로 식탁을 내리쳤다고 주장하는 가운데 이날 김 부지사는 ‘모두 저의 책임’이라면서 사퇴 의사를 밝혔다.

각종 논란으로 인해 도의회 파행이 길어지자 도내 곳곳에선 도정과 의정 활동 정상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들끓고 있다. 전국공무원노조 경기지역본부 경기도청지부는 지난달 27일 성명서를 내고 “도가 추진하는 정책이 올바르게 추진될 수 있도록 도와 도의회가 추경안 처리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경기도 중소상인 및 자영업자 자발적 시민연대 역시 기자회견을 열고 “더는 경제 문제로 힘들어하는 도내 소상공인이 없도록 김 지사가 앞장서서 해결해 달라”고 호소하는 등 도정과 의정 정상화에 대한 목소리가 빗발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민생이 최우선이라는 생각으로 도와 도의회가 협업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태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