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시론] 로또 번호 상술의 덫

image
손철옥 경기도 소비자단체협의회 부회장

AI를 이용해 예측한 로또번호를 제공한다는 수법으로 소비자를 울린 업체가 적발됐다. 이 업체는 2012년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복권 당첨번호 예측 서비스 사이트’를 92개 운영하며 피해자 6만4천104명으로부터 607억원을 챙겼다.

인터넷에 ‘로또’를 검색하면 수많은 사이트가 보이는데, ‘무료 예상번호 받기’, ‘이벤트 당첨’으로 소비자를 유인해 개인정보를 알아낸다.

이와 관련해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상담 건수는 지난해 한 해 2천780건이고, 올해는 지난달까지 이미 2천82건이다. 주요 상담 내용은 로또 당첨번호를 알려준다고 해 100만원 가까운 회비를 결제하면서 회원으로 가입했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아 해지를 요구하면 환급을 해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복권위원회 자료를 보니 ‘최근 1년 이내 복권 구입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62.8%인데, 로또복권을 ‘한 달에 한 번’ 구입하는 사람이 26.0%로 가장 많고, ‘매주’(23.9%), ‘2주에 한번’(18.9%) 순으로 응답했다.

지난해 12월 ‘세계불평등연구소’(World Inequality Lab)가 발간한 ‘세계 불평등 보고서 2022’를 보면 우리나라의 빈부격차는 소득과 자산 분야 모두 다른 나라보다 심각하다. 상위 10%의 평균 소득은 전체의 46%인 데 비해 하위 50%의 평균 소득은 전체의 16%에 불과했고, 평균 자산도 상위 10%는 전체의 59%, 하위 50%의 비중은 6%였다. 요즘은 옛날보다 자수성가(自手成家)하기가 어려운 시대다.

하지만 경제적 계층 상승을 위한 방법으로 로또를 선택하고, 쉽게 당첨되기 위해 로또당첨번호를 받으려 회원에 가입하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로또정보서비스에 가입한 소비자는 100만원 안팎의 회비를 돌려받을 수 있을까? 가입할 때와는 다르게 회원에서 탈퇴하려 하면 사업자가 연락을 받지 않는다.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데 1372의 주축인 소비자단체나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피해나 분쟁을 합의권고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악의적인 로또정보 사업자가 합의권고나 조정안을 거부하면 민사소송을 제기해야 한다. 10년간 로또번호 사기로 600억원을 챙긴 사업자라면 합의권고나 조정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은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평범한 시민이 100만원을 돌려받기 위해 로또정보 업체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까? 스스로 소송하기가 쉽지 않고 받으려는 금액보다 더 많은 수임료를 주고 변호사를 선임하기도 어려울 것이니 그 가능성 또한 거의 없다.

‘공짜치즈는 쥐덫에만 있다’는 러시아 속담이 있다. 무료 로또당첨번호 제공이라는 솔깃한 치즈를 물면 결국 100만원의 회비를 지불하는 쥐덫에 걸려드는 꼴이 되고 마는 것이다. 소비자가 냉철하고 현명해야 한다.

손철옥 경기도 소비자단체협의회 부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