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전이성 위암 TMB로 면역항암제 효능 예측 확인

분당서울대병원 이근욱 혈액종양내과 교수팀이 전이성 위암 치료에서도 TMB 검사로 효과적인 면역항암제 치료를 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밝혔다.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전이성 위암 환자도 다른 암 환자들처럼 ‘종양돌연변이부하(Tumor Mutation Burden, TMB)’ 검사를 통해 맞춤치료를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29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이근욱 혈액종양내과 교수팀이 전이성 위암 치료에서도 TMB 검사를 하고 이를 활용한다면 효과적인 면역항암제 치료를 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밝혔다.

이근욱 교수팀은 전이성 위암에서 TMB의 발현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환자별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예측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했다. 이번 연구는 기존에 치료를 받지 않은 전이성 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면역항암제 사용과 세포독성항암치료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연구(KEYNOTE-062 3상 임상시험)도 병행됐다.

연구 결과 TMB-High군(TMB≥10)의 환자에게는 ▲종양반응률 ▲생존기간 등 여러 분야에서 면역항암제 치료가 세포독성항암치료보다 좋았지만 TMB-Low군(TMB<10)에서는 반대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이성 위암 환자의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TMB 검사를 하고 결과 값에 따라 면역항암제 치료 여부를 결정한다면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구는 면역항암제 효능 예측에 대한 TMB의 유용성을 전이성 위암 치료까지 확장한 것이다.

기존에는 위암 조직의 ‘PD-L1의 발현 정도’ 및 ‘현미부수체 불안전성(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검사를 활용해 면역항암제 효능을 어느 정도 예측해 왔는데, 이제는 TMB 검사를 추가적으로 시행해 환자별 맞춤치료를 더욱 정밀하게 시행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한 점에서 높은 학술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근욱 교수는 “전이성 위암 환자를 치료할 때 TMB 결과 값을 기존 검사와 병행해서 활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항암치료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치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