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가 파평면 파산서원 삼문(정문) 앞에서 서원과 함께 300여년의 역사를 공유해 온 느티나무 고사목에 대한 재활용에 나선다.
앞서 길이 6m, 상단 너비 3m, 하단 너비 4.7m 크기인 파산서원 삼문 앞 느티나무 고사목이 강풍에 뿌리가 뽑힌 채 서원 앞 정남향으로 두 동강이 난 채 방치(경기일보 25일자 10면)되고 있다.
29일 파주시에 따르면 시는 파산서원과 함께 해온 해당 고사목에 대한 보존가치를 집중 검토하고 활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파주문화원 및 파주시 서각협회 등에 현장 확인 등을 요청했다.
시는 이어 지난 26일 관련 직원을 현장에 파견해 쓰러져 있는 느티나무 고사목 주변에 가로 8m, 세로 5m 크기의 세이프존(안전지대)을 설치해 고사목 훼손 방지에 나섰다.
시의 느티나무 고사목 재활용 방침은 경기도 문화재 자료 10호인 파산서원이 임진왜란과 6·25전쟁 등을 겪으면서 불에 탄 뒤 터만 남아 있는 것을 2차례 중건한데다 최소 수령 300년이 넘는 느티나무 고사목이 경기북부권역에 유일하게 남은 원형으로 역사적 가치가 뛰어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쓰러져 있는 느티나무 고사목 내부는 텅 비어 있고 나무 속 중간 중간에 붉은색을 띨 정도로 색채감이 살아 있어 서각 전문가는 느티나무 고사목이 색깔이 좋아 통목 사용은 어렵지만 2~3장으로 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귀순 파주시 문화예술과장은 “파산서원 앞 느티나무 고사목은 20여년 전 고사된 나무여서 보호수는 아니지만 서원과 함께 수백년을 함께해온 유일한 원형으로 보존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본다”며 “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재활용방안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한편 파산서원은 1568년 우계 성혼 선생, 성수침 선생, 백인걸 선생 등을 배향하기 위해 율곡 이이 등이 나서 건립했으며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파주에서 유일하게 남았다. 우계 선생은 조선 중기 율곡 선생과 함께 퇴계 이황 선생의 영남유학과 쌍벽을 이뤘던 기호유학(파산학) 종장이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