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새미로’. 깨지거나 갈라지지 않은 그대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순우리말이다.
코로나19 등 전염병의 상흔에 혐오와 차별로 얼룩진 갈등이 전 세계를 혼돈으로 몰아넣고 있는 요즘, ‘온새미로’를 모토 삼아 뒤틀린 삶을 회복하려는 사람들이 모였다. 크고 작은 균열들을 메우기 위해, 국적과 인종이 다른 지구촌 예술인들이 설치·퍼포먼스·회화·조각·사진·영상 등 다채로운 고유의 언어로 ‘온새미로’를 외치고 있다. 이 같은 표현은 분단에 처한 한국에만 머무르는 개념이 아니며 각기 다른 나라의 다른 배경, 문화권과 공명할 수 있기에, 대립에 신음하는 오늘날의 인간 사회에 예술이 제안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한다.
지난달 28일 개막해 9일까지 수원특례시 장안구의 복합문화공간 111CM과 수원시립만석전시관, 팔달구의 예술공간 아름, 실험공간 UZ 에서 펼쳐지는 2022 수원국제예술프로젝트 ‘온새미로’ 전시의 이야기다. 이번 대규모 협업 프로젝트는 ‘온새미로’를 기치로 내걸고 국외 30여명(20개국)의 작가와 국내 33명의 작가들이 뜻을 모은 자리다. 각기 다른 개성으로 무장한 작품들이 각 전시 공간 특성에 알맞게 스며들어 관람객들과 만나고 있다.
먼저 111CM에서 이윤숙 작가는 ‘온새미로 2022-코로나 랩소디’로 파괴된 자연과의 공존을 모색하는 체험의 공간을 만들어냈다. 추상미술의 대가 이건용 작가도 붓에 묻어있는 물감을 씻어 버리지 않고 버려진 골판지에 칠해, 환경 파괴에 대한 문제 의식을 불러오는 작품인 ‘쓰다 남은 색_Leftover Used Color’를 펼쳐 놨다. 또 자연과 나를 둘러싼 세계 사이의 관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지나 손 작가의 ‘중첩된 시간’ 역시 눈길을 사로잡는다.
만석전시관에선 치유와 해소를 위해 인간의 내면과 자아를 비롯해 나를 둘러싼 바깥의 현상을 저울질하며 고민을 이어 온 최세경 작가의 작품을 만날 수 있으며, 실험공간 UZ에선 현시대의 국제적인 이슈들을 도덕성과 연결해 비주얼 작업을 선보이는 잉그리드 롤레마의 시선이 느껴지고, 예술공간 아름에서 볼 수 있는 홍채원 작가의 ‘풍경의 이면’은 사람이 떠난 자리에 머무는 곰팡이를 응시하는 작업에서 공존·공생 의식을 환기시키고 있다.
‘온새미로’의 현재적 의미를 탐구하는 장도 전시 기간 마련됐다. 지난 1일에는 김종길 미술평론가, 펑 차이쉰 디렉터 등이 참석한 컨퍼런스가 열렸고, 2일과 4일엔 111CM에서 국내외 작가들이 협업 퍼포먼스로 방문객들과 소통했다. 6일에는 최세경, 김정대, 오점균, 잉그리드 롤레마, 톰 빙크, 피오나 챙 등 작가들이 작품 세계를 설명하는 자리가 수원문화재단에 마련된 데 이어 네덜란드 민속 문화를 테마로 하는 야외 퍼포먼스도 화성 행궁 광장에서 열렸다.
이번 프로젝트를 총괄한 김성배 총감독은 “온새미로 프로젝트의 시작은 2018년부터다. 나 자신과 우리들의 고유한 정체성을 되찾고 연대와 회복을 도모하는 취지인 만큼 단발성·일회성에 그치지 않는 장기 기획이 될 것”이라며 “해외 작가들 역시 프로젝트의 취지와 명분에 깊이 공감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가 향후에는 ‘베니스 비엔날레’나 ‘카셀 도큐멘타’에 버금가는 컨템포러리 아트의 상징적인 화두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송상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