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중소기업 해외 지식재산권 확보 지원’ 신규사업 나선다

경기도가 ‘중소기업 해외 지식재산권’ 확보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미흡하다는 지적(경기일보 11일자 2면)을 받는 가운데, 도내 각 벤처·중소기업의 특성을 고려한 대책 마련 카드를 꺼내 들었다.

11일 도에 따르면 도는 총사업비 5억원이 소요되는 내년도 신규사업인 ‘스타트업 해외 지식재산권 확보 지원’ 사업을 통해 도내 벤처·중소기업의 해외 출원 비용과 해외 컨설팅을 지원할 예정이다.

앞서 도는 정부와 함께 시행해 온 ‘글로벌 지식재산 스타기업 육성’ 사업(국비 50%, 도비 50%)과 관련,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정책 지원으로 우수기술을 보유한 도내 중소기업이 해외 지식재산권 출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받은 바 있다. 경기일보가 ‘글로벌 지식재산 스타기업 육성’ 사업의 추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20년 3.5대 1이었던 기존 사업의 도내 경쟁률(신청기업 378곳, 선정기업 108곳)이 지난해 23대 1(신청기업 210곳, 선정기업 9곳)로 치솟았기 때문이다. 올해 역시 278곳의 신청기업 중 68곳이 선정된 데 그쳤다.

이에 도는 내년도 본예산에 ‘해외 출원 비용 지원’으로 3억2천만원의 사업비를 편성해 출원 과정에서 요구되는 대리인 비용과 번역료 등의 실비 지원을 구상 중이다. 선정된 기업 당 연 최대 2건의 혜택을 제공해 총 80건의 비용 지원을 완료하겠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아울러 도는 1억원의 사업비를 편성해 ‘해외 지식재산권 컨설팅 지원’을 시행, 해외 지식재산권 출원을 위한 종합적인 차원의 지원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기업은 출원국 선정부터 심사청구 시기, 비용 절감 방안까지 전 과정에 대한 맞춤형 전략 조언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는 기업당 연 최대 1건을 지원해 총 20건의 컨설팅을 시행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도 지식재산 종합계획’의 일환인 이번 신규사업으로 도내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돕겠다. 기업 선정 과정에서 외부 전문가의 평가를 참고해 적합성과 투명도 역시 보장할 것”이라며 “내년도 예산이 확보되면 새싹 기업들의 체계적인 해외 지식재산권 로드맵을 수립해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손사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