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2천237곳’ 지정 대부분 몰라 폭우에 고립된 광명 하안동 등 안내문 없어… 사전 교육 필요
산사태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지정한 ‘산사태 취약지역’을 정작 인근 주민들은 인지조차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8월 집중호우 당시 도내에서 192건의 산사태가 발생, 사망사고로까지 이어진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6일 산림청 등에 따르면 올해 초 집계된 도내 산사태 취약지역은 2천237곳으로, 인근 거주민만 9천42명에 달한다. 산사태 취약지역은 지방자치단체와 산림청이 인명과 재산 피해가 예상되는 산사태 우려 지역을 미리 지정해 각종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관리하는 지역이다.
그러나 정작 산사태 취약지역 일대 주민들은 지정 사실조차 알지 못하는 실정이다.
지난 폭우 당시 주택가 중심 카페 앞까지 토사와 돌이 밀려 왔던 부천시 소사본동 산사태 취약지역. 이곳에는 어르신들이 다니는 학교가 있어 사고 시 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지역이지만, 주민들은 취약지역 지정 사실을 알지 못했다. 30대 주민 A씨는 “인근에 노인학교가 있는 곳이 산사태 취약지역이라는 소리냐”면서 “행정기관은 알면서도 아무런 언질도 주지 않았다고 생각이 화가 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순식간에 인명피해를 낼 수 있는 산사태의 특성 상 취약지역 인근 주민들에게 사전에 이 같은 사실을 고지하고, 관련 교육 등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재현 경상국립대 산림융복합학과 교수는 “산사태 취약지역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상대로 하는 실질적인 교육이나 안내는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 실정”이라며 “지자체가 발송하는 안내 문자의 경우 어르신들은 이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아 보다 효율적인 홍보가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동네 이장단을 통해 산사태 취약지역을 안내하거나 지자체에서 인접지역 주민들에게 원격교육 등 산사태 예방 및 대응 행동 요령을 교육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산림청 관계자는 “법적 고시 대상은 토지 소유자와 각 지자체장이기에 주민들을 상대로 별도 공지는 하지 않고 있다”며 “인접지역 주민들에게 (취약지역을) 어떻게 인지시킬지 고민해 보겠다”고 말했다.
한수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