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의원, "활성화 위해 시가 적극적으로 개입 지원책 마련해야"
장명희 안양시의원이 공실률 30%를 웃도는 안양 일번가 지하상가 활성화를 위해 시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진행된 안양시 행정사무감사에서 장명희 안양시의원은 집행부를 대상으로 과도한 임대료와 관리비 부담으로 공실률이 높아지고 있는 일번가 지하상가 문제에 대해 집중 질의했다.
현재 일번가 지하상가는 공실률은 31.9%로, 지난 2018년 16.6%과 비교하면 5년간 2배 가까이 늘어난 실정이다. 장 의원은 “일번가 지하상가의 쇠퇴 원인은 투자회사에 유리하게 맺어진 민자협약으로 인해 높게 책정된 임대료와 관리비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장 의원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진행된 일번가 지하상가의 리모델링 총 비용은 434억원으로, 공사면적이 두 배가 넘는 서울의 고터몰(472억원)이나 공사면적이 비슷한 충주 창원프리몰(298억원)의 리모델링 비용과 비교하면 턱없이 높은 수준이다.
이에 수익을 맞추려다보니 처음부터 일번가 지하상가 임대료와 관리비가 높게 책정됐고, 연간 소비자물가지수 변동률을 반영해 임대료와 관리비를 인상하는 실시협약 구조에서 상인들의 어려움이 전혀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코로나 상황에서 안양도시공사가 관리하는 중앙지하상가의 임대료는 2020년 면적당 51만9천610원에서 2022년 50만5천300원으로 인하했다.
반면 민자협약에 따라 운영되고 있는 일번가 지하상가의 임대료는 오히려 2020년 면적당 57만4천179원에서 2022년 60만1천957원으로 올랐다.
장 의원은 “시는 구도심 상권 전체에 대한 장기적인 관점으로 일번가 지하상가가 직면한 어려움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며 “시민들의 보행로로 쓰이고 있는 공용통로 부분에 대한 지원근거 마련 및 임대료 인하를 위한 특단의 지원책을 마련할 때”라고 촉구했다.
안양=김형표·박용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