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 구조조정 형평성 논란...산하기관만 진행

문화재단·교육재단·시설공단 ‘인력감축’
시청 조직축소 계획은 표류 ‘시민 원성’

오산시가 산하 공공기관 구조조정을 추진 중인 가운데 본청 구조조정에 대해선 손도 대지 못하면서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다.

5일 오산시와 오산문화재단 등에 따르면 이권재 시장은 지난 7월 취임과 함께 재정위기를 이유로 시와 시 산하 공공기관 3곳에 대한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오산문화재단, 오산교육재단, 오산시시설관리공단 등은 내년 1월부터 조직축소 및 인력감축 등을 내용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한다.

문화재단은 기존 7개 팀을 4개 팀으로 줄이고 정원을 51명에서 38명으로 감축하며 본부장 직제를 폐지한다. 교육재단은 기존 5개 팀을 2개 팀, 정원을 24명에서 12명으로 각각 축소하고 교육정책관 직제도 폐지한다. 시설관리공단도 기존 1본부 1실 6팀을 7개 팀으로 개편하고 정원을 170명에서 10명 줄이며 본부장 직제도 없앤다.

시는 문화재단과 교육재단 등은 유사‧중복사업의 통폐합과 사업비 축소, 시설관리공단은 인력 효율화 방향으로 구조조정계획을 수립했다. 시는 내년부터 착수해 2024년 완료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인원 40명을 감축하고 19억여원의 예산을 절감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당초 ‘1국 5과 폐지’를 목표로 추진했던 본청 구조조정계획은 공무원 노동조합 반대 등으로 ‘1국 2과 폐지’로 축소됐는데도 시의회가 관련 조례(안)을 상정하지 않아 무산됐다.

이에 대해 산하 기관 직원들은 물론 시민들이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며 시 본청 구조조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오산문화재단 직원 A씨는 “산하 공공기관에 대해선 조직과 인원을 대폭 줄이며 가혹할 정도의 구조조정을 단행하면서 정작 시 본청에 대해선 아무 것도 하지 않았다”며 “산하기관 때문에 시의 재정위기가 초래된 것이냐”라고 반문했다.

시민 B씨도 “시청 직원들은 그대로 두고 시민의 교육·문화·복지 담당 공공기관에 대해서만 대폭으로 구조조정하는 건 잘못됐다”며 “고통분담차원에서라도 시의 구조조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공무원 인건비가 행정안전부 기준 대비 매년 100억원 이상 초과 집행이 예상되는 만큼 구조조정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공무원 노조 및 시의회와 대화와 설득을 통해 구조조정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오산=강경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