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가 고덕국제신도시에 건립을 추진 중인 시립박물관이 속도를 내고 있다.
시가 전시·구성 콘셉트를 ‘길’로 설정하고 구체적인 연출계획 수립에 나서서다.
15일 평택시에 따르면 시는 2026년 준공을 목표로 고덕국제신도시 중앙공원 내 부지 1만1천780㎡에 연면적 6천729㎡ 규모의 시립박물관 건립을 추진 중이다.
이런 가운데, 시는 최근 시립박물관 전시기본계획 수립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이 같은 방향으로 전시계획을 수립하기로 결정했다.
전시 콘셉트는 평야·하천·바다가 공존하는 역사적인 환경을 반영해 고려·조선시대 조운체계와 평택항, 삼남대로, 경부선철도 및 경부고속도로 등이 제시됐다.
이에 따라 선사시대부터 현재와 미래 등의 평택의 모습을 담아 중세·근세는 사료 속 나루와 포구를 중심으로, 근대는 평택역 등을 중심으로 한 도시 형성을 담은 전시 연출안이 나왔다.
한국전쟁 이후 시기는 미군 주둔과 이주민의 정착사, 1960~1990년대는 아산만 방조제 건설과 평택시와 송탄시, 평택군 등 3개 시·군 통합 등을 다룬 안이 제시됐다.
이와 함께 주민 참여형 박물관으로 조성하기 위해 박물관 내부에 전시될 영상물과 조형물 등은 지역 작가와 협업해 제작해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새 영상물을 상영하기로 했다. 청소년 등 주민 창작 영상물을 상영하는 방안도 나왔다.
시는 전시 내용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할 것과 지역 인물 발굴 등 자문위원 제안을 바탕으로 내년 2월 투시도 등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한 중간보고회를 열 계획이다.
정용훈 박물관팀장은 “어떤 그릇에 무엇을 담느냐가 아닌 그릇과 내용을 함께 결정하고자 내년 건축기획용역을 발주해 전시와 건축 등이 함께 맞물려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평택=최해영·안노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