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지하화 공사비 부담·유지비 3배↑ 합의점 못 찾아 市 “아직 내구연한 남아… LH·인천시 등과 방안 모색”
부천시가 굴포하수종말처리장 상부를 덮고 개선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아 현대화는 사실상 물 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1일 부천시에 따르면 민선 7기 때 대장신도시 조성을 앞두고 굴포하수종말처리장과 자원순환센터(소각장) 등의 개선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해 왔다.
민선 7기 집행부는 국토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 굴포하수종말처리장과 자원순환센터 등의 대장지구 내 편입을 요구했지만 무산됨에 따라 일괄 이전 후 완전 지하화를 추진해 왔다.
하지만 민선 8기 들어 일괄 이전 후 완전 지하화 계획에 제동을 걸고 원점 재검토로 방향을 틀어 최근 6개월 동안 ‘이전 후 완전 지하화’와 ‘순차적 지하화’, ‘상부 덮은 방식’ 등을 놓고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논의를 지속해 왔다.
이런 가운데 시는 최근 굴포하수종말처리장에 대해선 상부를 덮고 기존 시설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잠정 결론 낸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결정 배경에는 현재 하수처리장이 하루 약 36만t을 처리하면서 연간 처리비용 130여억원을 부담하고 있는 인천시와 사전에 이전 후 완전 지하화에 대한 공사비 부담과 늘어나는 유지비 상승(약 3배 증가 예상)에 대해 충분한 합의점을 찾지 못한 점이 가장 컸을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일각에선 시가 결정한 상부 덮는 방식으로는 완전한 악취 제거와 하수처리장 내구연한인 30년이 곧 도래해 시설 노후화로 기존 시설 개·보수비와 유지비 상승 등으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 1, 2차로 나눠 순차적인 현대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시 관계자는 “아직 굴포하수종말처리장 내구연한이 남아 있고 민선 8기에 들어서면서 ‘이전 후 완전 지하화’와 ‘순차적 지하화’, ‘상부 덮는 방식’ 등 여러모로 검토한 결과 큰 틀에서 상부를 덮는 방식으로 방향을 정했으며 앞으로 LH, 인천시 등과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자원순환센터(소각장)와 관련해서는 “현재 광역화보다는 시 물량만 처리하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재정사업 추진을 검토 중이다. 소각장 부지에 대해 기존 하수처리장 옆 이전과 현재 자리 잔여 부지에 증축 등을 놓고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