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안전지대 아니야”… 대규모 지진 대책 시급

9일 지진 발생한 강화 내진성능 확보율 32.8% 불과

image
9일 오후 수원특례시 권선구 수도권기상청에서 기상청 관계자가 인천 강화군 25km 해역에서 금일 새벽에 일어난 지진에 대해 진도와 진앙지를 관측하고 있다. 홍기웅기자

 

인천지역 군·구 10곳 중 6곳의 공공시설 절반이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해 지진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9일 지진이 발생한 강화지역의 내진성능 확보율은 인천에서 최저 수준에 그쳐 관련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 강화군과 부평구 등 6곳의 공공시설 572곳 중 306곳(53.4%)이 지진 발생시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내진성능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인천에서만 규모 2.1~3.7의 지진이 11건이나 발생하고 있지만 지역 공공시설의 지진 대비는 지지부진하다. 내진성능이 없는 공공시설은 대부분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거나 지진 등 재난시 대피해야 하는 동사무소와 복지관, 체육관 등이라 대규모 지진 피해 우려가 크다.

 

이날 오전 1시28분 3.7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강화지역은 인천에서 가장 많은 125곳의 공공시설이 있지만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않은 곳은 무려 84곳(67.2%)이다. 이 가운데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복지관, 면사무소, 경로당 등 공공시설은 63곳이며, 도로는 16곳이다. 시설 피해 시 대규모 물난리가 날 수 있는 배수갑문 3곳, 저수지 2곳 등도 내진성능이 없다.

 

강화군 하점면에 거주하는 황우덕씨(66)는 “강화지역 공공시설의 내진성능이 이렇게 낮은지 전혀 몰랐다”며 “평소 면사무소 등 공공시설을 자주 이용하고 있는 만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내진성능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이와 함께 부평구는 107곳 중 63곳(58.9%), 남동구는 113곳 중 58곳(51.3%) 등 절반이 넘는 공공시설이 내진성능을 갖추지 않고 있다. 또 중구 64곳 중 30곳(46.9%), 미추홀구 80곳 중 35곳(43.7%), 옹진군 83곳 중 36곳(43.4%) 등도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데도 인천의 내진성능 확보를 위한 사업 규모는 계속 줄고 있다. 지난 2020년 내진보강공사·성능평가를 받은 공공시설 등은 134곳(사업비 80억원)이지만 2021년은 59곳(27억원), 지난해는 51곳(53억원) 등에 그친다.

 

문정식 한국화재감식학회 운영위원장은 “내진성능이 부족한 곳이 너무 많아 언제든 큰 사고가 날 수 있을 것”이라며 “이제는 인천이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만큼 지자체가 나서 내진성능 확보 사업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각 군·구의 공공시설은 늘고 있는 반면 예산 확보가 어려워 아직 내진성능 확보율이 낮다”고 했다. 이어 “최근 행정안전부와 함께 내진성능 확보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오는 2035년까지는 모든 공공시설에 내진성능을 확보할 것”이라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