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신년 언론인 브리핑서 “검단지역 1개 역사 거쳐 김포로 들어오는 방안 추진” 종합운동장 인근 북변 전통시장 상설시장 조성 산하 공공기관 구조조정 시의회 승인받아 계획대로
김병수 김포시장은 수도권 전철 5호선 김포연장과 관련해 인천시가 추진하는 검단 일원 역 3~4곳을 거쳐 김포로 들어오는 방안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12일 열린 신년 언론 브리핑에서 “수도권 전철 5호선 김포연장 김포 직결은 사실이 아니고 과거 김포시와 인천시, 서울시 등과 대광위가 추진해온 검단지역 역사 1곳을 거쳐 김포로 들어오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이라며 이처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1월 김포시와 서울시, 서울 강서구 등이 수도권 전철 5호선 김포 연장에 대해 협약을 체결하면서 ‘인천 패싱’ 논란이 일며 최근 인천시가 수도권 전철 5호선 검단·김포연장 타당성용역을 발주한 가운데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된다.
김 시장은 특히 “인천시가 주장하는 검단 일원 역 3~4곳을 거쳐 김포로 들어오는 방안은 사업성이 떨어진다”며 “국토부가 발표한 콤페트시티(김포한강2) 신도시 조성에 따라 사업성이 나온다면 (검단경유 없이) 김포 직결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시장은 또 논란이 되고 있는 건폐장 김포이전과 관련 “건폐장 이전은 수도권 전철 5호선 차량기지가 최종적으로 김포로 올 경우 서울시가 차량기지와 건폐장 부지를 개발할 수 있도록 이전 위치를 확정할 수 는 없지만 김포시가 이전해주기로 서울시와 합의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전시기를 특정할 수는 없지만 수도권 전철 5호선 김포연장이 건설된 뒤 최종적으로 차량기지를 김포로 이전할 때 함께 건폐장도 이전해주면 된다”며 “수도권 전철 5호선 건설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시장은 특히 건페장 이전 반대주장과 관련해 “서울에 있는 모든 업체와 시설이 오는 게 아니라 보상과 일부 폐업 등을 거쳐 잔류 업체들이 오는 것으로 6천여평 규모만 이전될 것”이라며 “해당 시설도 현재의 모습이 아닌 지하 또는 옥내시설로 하고 건폐장 접근도로도 외곽으로 다니도록 해 환경오염을 방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시장은 이와 함께 시 산하 공공기관 혁신과 관련해 “지난 해 행안부에 제출한 혁신계획은 시의회 승인을 받아야 하고 행안부 제출안대로 이행을 할 것”이라며 “해당 기관장 인사는 현 임기를 존중해 차기 인사를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김 시장은 북변동 전통시장 상설화에 대해서도 “양촌읍 누산리에 계획 중인 종합운동장 건설과 함께 조성되는 상업시설 등과 연계해 상설시장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