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와 서울시를 연결하는 704번 버스 노선에 대해 일방적으로 단축방침을 통보해 장흥면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양주 지역 도의원과 양주시의회도 노선단축 철회 건의안을 채택하는등 전방위적인 대응에 동참하고 나섰다.
13일 시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해 11월 28일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 차고지를 출발해 고양시~은평뉴타운~불광동~서대문~서울역을 운행하는 704번 버스노선 중 부곡리 차고지에서 교현리 예비군훈련장까지 구간의 운행을 폐지할 계획이라며 704번 버스노선 단축계획과 대체노선 발굴을 요구하는 공문을 양주시에 보냈다.
서울시는 부곡리 차고지에 CNG 충전시설이 없어 진관동 차고지까지 하루 1대당 22㎞를 빈차로 운행하는등 경제적 낭비와 함께 운전사들의 근로여건 악화 등을 이유로 들었다.
또한 서울시의회가 버스공영제로 인해 한해 적자 규모가 8천600억원에 이른다며 버스노선 조정·폐지 등을 요구한데 따른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이에 양주시는 대체 노선을 마련해도 기존과 같은 수준의 서비스 제공이 힘들다며 현행대로 운행될 수 있도록 충전소 설치 등 필요한 시설에 대한 재정지원을 제시하며 노선단축 철회를 요청했다.
주민들도 704번 버스는 서울시민과 장흥지역 주민들의 생계와 통학을 위한 유일한 교통수단으로 서울시민 이용구간만 단축운행하겠다는 이기적인 행정을 비난하며 장흥지역 25개 요양원에 근무하는 서울지역 근로자들이 주 교통수단으로 이용하고 있어 불편을 겪게 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영주 도의원(국민의힘·양주1)은 지난해 경기도 행정감사에서 주민들의 의견수렴 없는 서울시의 이같은 일방통행식 행정은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 비판하고 경기도 차원의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양주시의회도 13일 열린 제351회 임시회에서 시민의 이동권과 편의를 외면한 서울시의 탁상행정을 강력 비판하며 704번 버스 노선 유지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고 “양주시민들이 서울시의 일방적인 버스 정책의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시도를 연결하는 버스노선의 경우 해당 광역단체장간 사전협의를 생략할 수 없도록 관련 법령을 즉각 개정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버스정책과 박흥식 노선팀장은 “버스 이용자들이 불편이 없어야 하므로 대체노선이 마련될 때까지 보류한 상태”라며 “대체노선은 양주시에서 직접 만드는 것은 불가하고, 현재 양주 관내를 운행하는 버스업체와 협의하고 있으며 서울시가 주도적으로 대체 노선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