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물 ‘덕지덕지’ 도시미관 훼손, 보행자 안전 위협… 혈세 낭비도 설치·관리 주체 제각각 확인 난항, 지자체 “훼손 부분 확인·조치할 것”
“광고물 부착 방지 효과도 없고, 오히려 광고물보다 더 지저분해요. 세금 낭비 아닌가요.”
15일 수원특례시 장안구 송죽동의 한 대형마트 인근 인도. 훼손되다 못해 완전히 찢긴 광고물 부착 방지판의 잔해물이 도로 한가운데에 떨어져 있었다. 또 다른 전신주에 붙은 광고물 부착 방지판은 찢어진 채 바람에 휘날리며 지나가는 시민들을 위협했다. 자전거를 타고 이곳을 지나던 한 시민은 잔해물을 피하려다 다른 시민과 부딪힐 뻔하기도 했다.
바닥에 떨어진 광고물 부착 방지판을 지켜보던 김금래씨(가명·70·여)는 “저번부터 덜렁덜렁 거렸는데 이 지경이 될 때까지 아무도 관리를 안한 것 같다”며 “보기 흉하다. 관리 주체가 빨리 치워야 되는 것 아니냐”고 혀를 찼다.
같은 날 이천시 백사면 현방리의 한 골목. 이곳에 설치된 광고물 부착 방지판 역시 잔뜩 찌그러진 채 도시미관을 해치고 있었다. 더욱이 찌그러지면서 광고물 부착 방지판의 날카로운 면이 그대로 노출돼 있어 누가 부딪히기라도 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보였다.
광고물 부착 방지 효과도 미미해 보였다. 광고물 부착 방지판 주위에는 청테이프로 휘감은 광고물이 덕지덕지 붙어 있었고, 찢어진 광고물 부착 방지판 사이로 붙인 지 수년은 된 듯한 광고문도 돌출돼 있었다.
도시미관 개선을 위해 설치된 ‘광고물 부착 방지판’이 관리부실로 흉물로 전락하고 있다. 본래 설치 목적인 광고물 부착 방지 효과도 미미한 데다 보행자의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광고물 부착 방지판은 일선 지자체들이 불법 광고물 부착을 막고 감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 관리한다. 그러나 설치 주체가 제각각인 데다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설치 대상을 정하고 있어 설치 규모가 어느 정도 되는지, 관리 주체가 누구인지조차 알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실제로 경기일보 취재진이 한 지역의 훼손된 광고물 부착 방지판에 대해 해당 지자체 관계 기관에 모두 문의했으나, 누가 언제 설치한 것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중앙정부 지침부터 동 단위 사업 등 설치 관리 주체가 다양하고 한 번 설치되면 거의 교체되지 않아 정확히 누가 언제 설치했는지는 확인이 어렵다”면서 “훼손된 부분이 있다면 현장 확인 후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