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마리나항만 개발, 민간부문 재원조달 어려우면 재검토”

안산시가 추진 중인 방아머리 마리나항만 개발이 원자재가 상승 등으로 민간부문 재원조달 미전제시 재검토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방아머리 마리나항 개발사업 조감도. 안산시 제공

안산시의 방아머리 마리나항만 개발이 원자재가 상승 등으로 민간부문 재원조달 미 전제시 재검토가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기간 인·허가과정에 우크라전쟁 등에 따른 사업비 폭등으로 시 자체 예산만으로는 추진에 한계가 따를 것으로 우려된다.

 

1일 안산시 등에 따르면 방아머리 마리나항만 개발은 대부도 시화방조제 인근 해상에 14만5천㎡에 육박하는 규모로 레저선박 300척을 수용할 수 있는 육·수상계류시설과 마리나빌리지. 클럽하우스 등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1천228억여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시는 이를 위해2015년 7월 해당 사업의 우선협상 대상자 지정에 이어 사업시행자 지위를 받았다. 이후 지방재정법에 따른 타당성 조사와 중앙투자심사 통과 그리고 공유수면 매립에 따른 기본계획 반영 등 마리나항만 개발 관련 개별법에 따른 사전절차를 이행했다. 이같은 결과로 2020년 4월 해수부로부터 국가 거점형 마리나항만 개발의 일환으로 방아머리 마리나항만 개발 시행자로 선정됐다.

 

지자체 재원으로 추진하는 방아머리 마리나항만 개발은 시 개청 이래 가장 큰 사업으로 꼽히지만 그동안 장기간 인·허가과정이 진행되면서 당초 1천200억원대였던 사업비가 우크라전쟁 등 국내·외 사정으로 원자재가 상승 등에 따라 600억원가량 증액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정부의 추가지원은 물론 마리나항만법에 따른 선수금제도를 통한 민간부문 재원조달이 전제돼야 추진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시는 방아머리 거점 마리나항만 개발이 시행되면 2천300억원대 지역경제 생산효과와 800억원대 부가가치 창출, 1천300여명에 달하는 취업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정부 차원의 중점적인 예산투입 부족과 국내 마리나항 성공모델 부재가 지자체 추진동력에 힘을 싣지 못하고 있어 면밀하게 검토하고 있다. 향후 선분양을 비롯해 다양한 민간의 투자방식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