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탄소중립 ‘헛구호’... 온실가스 더 늘었다 [이슈M]

일회용품 줄이기·관련 기구 개편 등 의지 있지만... 구체적 실행안 ‘미흡’
道, 온실가스 배출 10년 간 약 2천96만t↑ 전국 3위... 추진 계획 C40 제출 서울과 대조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탄소 중립을 위한 노력에 속도가 붙고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현실적인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에 경기일보는 ‘지구 생존’을 위한 대한민국 탄소중립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기후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부와 자치단체의 중장기 플랜과 기업의 역할 등 3월의 <이슈M>을 통해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한다.

 

image

경기도와 인천시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탄소 중립 정책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구체적인 실행 계획 및 추진 체계 구축 등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인천시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국 17개 시·도 기준 상위권에 속하는 만큼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5일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공개한 ‘지역별 온실가스 인벤토리(1990~2019년)’를 살펴보면 경기도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에너지·산업공정·농업·폐기물 배출량의 합계)은 지난 2010년 약 6천415만t에서 2019년 약 8천511만t으로 10년 동안 약 2천96만t 증가했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별 온실가스 총배출량과 비교했을 때 충남(1억5천475만t)와 전남(9천100만t)에 이어 전국 3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같은 수도권인 인천시의 총배출량도 5천355만t으로 광역시 중 가장 높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력과 열 생산이 아닌 소비 기준으로 재산정한다면 경기도는 전국 1위(17.9%) 수준까지 올라간다.

 

상황이 이렇자 김동연 지사와 유정복 시장 등은 탄소 중립을 선언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각종 계획을 수립 중이다. 정부가 2030년까지 탄소 배출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겠다는 중간 목표를 설정한 것과 발을 맞추겠다는 것이다.

 

image
경기도와 인천시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국 17개 시·도 기준 상위권에 속해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사진은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해 10월12일 오후 경기도청 도지사 집무실에서 나이젤 토핑(Nigel Topping) COP26 기후대사와 개러스 위어(Gareth Weir) 주한 영국대사관 부대사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경기도 제공

 

하지만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이행 방안, 예산 등과 같은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 김 지사가 취임 이후 일회용품 줄이기와 같은 환경 정책과 함께 환경국을 기후환경에너지국으로 개편하는 등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지만, 명확한 탄소 중립 추진 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앞서 서울시가 국내 최초로 ‘2050 온실가스 감축 추진 계획’을 C40(도시 기후 리더십 그룹)에 제출하고 그린 숲 구축 등 74개 세부 과제를 마련한 것과 대조된다.

 

이와 관련해 윤화영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는 “기후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의 실질적인 이행은 지자체부터 시작된다”며 “지자체가 탄소중립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하루빨리 마련하고 이를 주민에게 알려 함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탄소중립을 위한 해법을 찾고자 관련 강의를 하는 등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며 “경기도가 바뀌면 세상이 바뀐다는 생각으로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