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어' 김영환 대표 등 대담 통해 “경제구조서 동물 분리해야” “법·정치·사회의식, 동물 입장에서 정립돼야”
“양평 개 학대사건과 같은 일이 재발되지 않으려면 마음으로만 분노하지 말고 동물 사는 세상을 바꾸려는 사람들의 힘이 필요합니다.”
김영환 동물권 단체 '케어' 대표와 이소현·박소연 케어 활동가 등 4명은 지난 25일 서울 성북구 케어 사무실에서 양평 개 굶겨 죽임사건 재발 방지 대책을 논의하는 대담을 갖고 ‘개 번식장 철폐’를 주장했다.
앞서 지난 4일 양평군 용문면에서 개 사체 1천200마리가 발견됐다. 숨진 채 발견된 개들은 굶어죽은 것으로 추정했다.
사건 발생 직후부터 지금까지 국민적 분노를 자아내고 있다. 동물보호단체 등은 한목소리로 이 같은 잔인한 사건이 재발되지 않으려면 번식장을 먼저 없애야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이날 김영환 대표는 “마당 안은 동물의 사체로 덮혀 있었다. 여기저기 놓여 있는 물탱크와 통 안에도 동물 시체가 쌓여 있었다. 방 안에 있는 것도 다 동물의 시체였다”고 양평 개 확대 사건 현장을 찾았을 때의 참혹했던 모습을 떠올렸다.
그러면서 “살아 있는 동물은 단 4마리 뿐이었다. 처음에는 그렇게까지 많은 개가 그 안에 죽어 있을 것이라고 상상도 하지못했다. 최소 3년 전부터 벌어진 일로 추정된다. 동물 학대의 현장을 늘 접하지만 양평 상황은 충격적이었다”고 말했다.
박소연 활동가도 “잔인한 사건을 제일 많이 본 사람이라 할 수 있는 나도 놀랄 일이었다. 어떻게 진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갈색푸들이 제일 많았고 소형견 사체들로 가득했다. 양평 개 죽임 사건은 단순히 사이코패스가 저지른 특이한 사건으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어딘가에서 지금도 일어나고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개인 주택에 기를 수 있는 반려동물의 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런 법적 사각 요인이 양평 개 학대사건의 빌미가 됐을 수도 있다”며 “양평에서 구한 3.6kg의 레몬이는 영양실조와 생식기 창상으로 치료를 받고 있다.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해 (가칭)레몬이법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영환 대표는 “동물은 먹고, 연구하고, 심적 만족을 주는 생산물로 인식돼선 안 된다”며 “법과 정치, 사회의식을 동물의 입장에서 정립해야 한다. 생명을 돈을 벌기 위한 수단으로 정당화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양평 개 학대사건의 재발을 막고 잉여동물로 인한 유기동물 발생을 막기 위해서는 동물을 경제 구조에서 분리시키는 것이 선행돼야한다고도 강조했다.
잉여동물을 양산시키는 ‘펫샵과 번식장’을 없앨 수 있도록 법과 정치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투쟁을 하며 한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통해 동물을 수익창출의 대상으로 생각하는 브리더(번식업자)와 식용 개 농장주의 동물학대를 근절시켜야 한다고도 했다.
이날 오후 8시부터 2시간 반 가량 진행된 대담은 유튜브로도 생중계됐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