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車車… 수원여대 해란캠퍼스 ‘목숨 건 통학’ [현장, 그곳&]

정문서 버스정류장까지 1㎞ 구간... 인도 없는 갓길 등하교 ‘위험천만’
道, 인도 포함 지방도 확장 추진, 완공까지 최대 6년… 학생 불만↑
도 관계자 “사업 조속 추진 최대한 노력할 것"

image
화성시 봉담읍에 위치한 수원여자대학교 해란캠퍼스 통학로에 인도가 없어 학생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홍기웅기자

 

“통학로에 인도가 없는 게 말이 되나요? 학교 갈 때마다 차에 치일까 불안해서 미칠 지경이에요.”

 

18일 오전 9시께 화성시 봉담읍 상기리 수원여자대학교 해란캠퍼스. 정문을 나서자 학교의 유일한 통학로인 322번 지방도(왕복 2차선)가 펼쳐졌다.

 

그러나 이곳부터 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자안입구 삼거리 인근 버스정류장까지 약 1㎞ 구간에는 통학로는커녕 갓길만 있을 뿐이었다.

 

최대 폭은 2m정도로, 그나마 폭이 넓은 구간은 이미 차량들의 불법 주·정차로 점령돼 있어 통행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었다.

 

통학로 초입에 시선 유도봉이 설치돼 있기는 하지만 고작 10여m에 걸치는 수준이었고, 이 마저도 일부는 훼손돼 제 역할을 못 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또 옆쪽으로 옹벽이 설치된 150여m 구간은 갓길 폭이 30㎝도 채 되지 않아 차량들이 학생들을 스쳐가다시피 할 정도였다.

 

때마침 전폭(자동차 좌우 끝단사이의 너비)이 넓은 대형 화물차가 갓길까지 침범, 통학 중인 학생과 부딪힐 뻔하는 등 아찔한 상황도 연출됐다.

 

오서진 수원여대 총학생회장(21)은 “약 1㎞ 떨어진 버스정류장에서 학교까지 걸어가다 보면 ‘정말 큰 사고가 날 수도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든다”며 “그런데도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지 않아 답답할 따름”이라고 호소했다.

 

image
화성시 봉담읍에 위치한 수원여자대학교 해란캠퍼스 통학로에 인도가 없어 학생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홍기웅기자

 

수원여대 해란캠퍼스가 문을 연 지 22년이 지나도록 통학로를 조성하지 못 하는 상황에 놓이면서 학생들이 안전사고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다.

 

이날 경기도와 수원여대 등에 따르면 수원여대는 지난 2001년 3월 화성시 봉담읍 상기리 336-26번지(부지면적 2만5천492㎡)에 연면적 2만6천914㎡ 규모의 해란캠퍼스를 조성했다.

 

해란캠퍼스에는 수원여대 28개 학과 중 ▲물리치료과 ▲식품영양과 ▲호텔외식조리과 ▲제과제빵과 ▲스포츠지도자과 ▲실용음악과 ▲반려동물과 ▲펫케어과 등 8개 학과가 설치됐다.

 

이날 기준 수원여대 전체 재학생(3천736명) 중 844명이 재학 중이며 여기에 해란캠퍼스 교직원 90여명과 복수전공자 등을 합하면 학교 전체 인원은 1천여명에 달한다.

 

하지만 해란캠퍼스가 문을 연 지 22년이 다 되도록 통학로를 설치하지 못 하고 있어 학생들이 안전사고를 우려하며 불안에 떨고 있다.

 

이에 수원여대는 학생 안전을 위해 지난 2019년부터 경기도에 인도 설치를 촉구해 왔으나 예산과 도로 규모 등 문제로 번번이 좌절됐다.

 

다만 도는 지난 2003년부터 ‘화성 자안~분천간 도로(지방도 322호선) 확포장 공사’를 추진 중이다. 당시 책정된 총 사업비는 936억원이다.

 

해당 사업은 해란캠퍼스 통학로가 포함된 지방도 322호선 6.4㎞ 구간을 2차선에서 4차로로 확장하는 내용으로, ‘인도 설치’ 항목이 포함돼 있다.

 

예산 확보 문제로 18년간 표류해 왔으나 2021년 해란캠퍼스 통학로가 포함된 2공구(자안입구 삼거리~상기교차로, 2.5㎞)가 행정안전부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하면서 본격화했다.

 

1공구(청요사거리~상기교차로, 3.9㎞)는 비용 대비 편익(B/C)이 낮아 ‘사업 재검토’ 판정을 받았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해 2월부터 2공구 재설계 용역에 착수했다. 올해 하반기께 완료 예정이다.

 

하지만 토지보상을 위한 측량과 감정평가 등 과정을 고려하면 완공까지는 최대 6년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해란캠퍼스 학생들의 불만은 날로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수원여대 해란캠퍼스의 고충을 잘 알고 있다”며 “사업이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