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6월5일은 유엔에서 정한 ‘세계 환경의 날’이다. 이날은 환경생태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지구 환경에 대한 책임을 전 세계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1972년 6월 유엔인간환경회의에서 제정한 기념일이다. 매년 기념일을 맞아 특별주제를 선정해 전 세계적인 행동참여를 독려하는데 올해의 주제는 ‘플라스틱 오염퇴치(Beat Plastic Pollution)’다. 2018년에도 동일한 주제였는데 올해 주제로 다시 선정됐다.
플라스틱 오염퇴치가 올해 다시 등장한 이유는 인류가 생산해 배출하는 플라스틱이 지구 생태계에 그만큼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생산된 플라스틱은 약 4억3천만t이다. 이 중 3분의 2는 사용 기간이 짧은 포장재, 소비재 등의 제품으로 사용 후 단기간에 버려지고 있다. 버려지는 전 세계 플라스틱의 재활용 비율은 10% 미만에 그치고 있다.
단기간 사용 후 버려지는 플라스틱이 썩어 없어지는 데는 약 500년이라는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플라스틱이 소각 처리되는 과정에서 다이옥신, 수은 등 인간에게 유해한 수많은 독성물질이 발생한다.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플라스틱의 경우 토양, 바다 등으로 유입돼 환경오염과 함께 인류 건강에 지속적인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전 세계 바다에 떠다니는 눈에는 보이지 않는 수많은 미세 플라스틱이 요즘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플라스틱이 비단 환경오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플라스틱의 생산부터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기후변화의 핵심 원인인 온실가스가 다량으로 발생해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플라스틱 1t을 생산하는데 평균적으로 약 5t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가뭄, 홍수, 폭염 등 과거에는 없던 극심한 기후변화가 지금도 전 세계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오염과 기후변화는 저개발 국가에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유엔 세계기상기구(WMO) 자료에 따르면 지난 반세기 동안 전 세계에서 발생한 이상기후로 인해 200만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으며 이 중 90%는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중국이 자국 내 플라스틱 쓰레기 수입을 중단한 이후 선진국에서 발생한 수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는 대부분 개도국으로 수출되고 있어 개도국 국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에 이어 ‘플라스틱 제로’ 계획을 잇달아 내놓고 있지만 아직 가야 할 길은 멀다. 플라스틱 오염 문제는 몇 개 국가의 의지로는 해결할 수 없으며 전 세계가 공동으로 대응해야 할 중대한 국제적 문제다. ‘플라스틱 오염퇴치’ 주제가 전 세계적 행동목표로 다시 등장하지 않기 위해서는 보다 강력하고 구체적인 국제적인 연대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