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가 경기도문화재인 만년제를 미담수로 정비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에 대해 만년제 주민대책위원회는 미담수 복원은 찬성하지만 개발규제 완화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화성시는 24일 오후 화산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만년제 담수면 정비 타당성 및 주변 활용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이번 보고회는 지난해 11월부터 진행된 만년제 담수면 정비 및 주변 활용계획 수립에 대한 용역 결과물을 내놓기에 앞서 전문가들과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취합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고회에는 박민철 여가문화교육국장을 비롯해 명미정·송선영·유재호·박진섭·위영란 시의원, 정해득 한신대 사학과 교수, 조윤행 화산동 사회단체협의회장, 김동양 만년제주민대책위원장, 주민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만년제 정비와 관련해 가장 큰 쟁점이었던 담수면 정비는 주민의견과 효율적 예산 활용을 위해 미담수로 진행될 계획이다.
또한 만년제 인근에는 만년쉼터, 만년만남 역사관 등을 조성해 만년제를 휴식과 전통문화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할 방침이다.
김 대책위원장은 “만년제 미담수 복원은 주민들도 원하는 방향”이라며 “최종보고회에서 설명한 방안대로 지연없이 정비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만년제 복원문제는 역사성도 중요하지만 이곳에서 살아가야 할 주민들의 목소리 역시 귀 기울여야 한다”며 “문화재지정이라는 이유로 천편일률적 잣대를 들이대며 문화행정을 감내하라는 식의 설득은 지역주민의 공감을 이끌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주민 편에 다가서서 문화재와 주민이 함께 공존할 수 있고 상호간 이해를 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해야 한다”며 “행위규제를 대폭 완화해 현실에 부합한 문화행정을 펼쳐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이날 보고회는 문화재 복원 방안에 대한 것”이라며 “지난달 14일 문화재보호구역 내 개발 고도 제한 완화를 위한 용역에 들어갔으며 11월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