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가평전투 캐나다 '레비 중위'와 장교의 책무

image
서대운 가평군청 대외협력팀 주무관

6·25전쟁 중 수많은 전투가 있었으나 수도 서울을 사수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전투가 가평전투다. 가평전투에서 영연방군이 승리하는 데 혁혁한 전공을 세운 장교 중 한 명이 캐나다군 마이클 레비 중위다. 그는 역경 속에서도 벼랑 끝 전술을 펼치고 투혼을 발휘해 적을 무찔렀다. 하지만 전후 많은 동료 장병이 가평전투의 승리로 군인 최고의 영예인 군십자무공훈장을 받았으나 그는 명단에서 제외됐다. 그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

 

가평전투는 중공군의 춘계 대공세 때인 1951년 4월23일부터 25일까지 2박3일간 가평군 북면 504고지와 677고지에 일대에서 2천명의 영연방 27여단과 1만명의 중공군 118사단 및 60사단이 맞붙은 전투다. 영연방군이 5배나 많은 중공군은 무찌를 수 있었던 것은 677고지를 사수했던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여단 2대대 D중대 10소대장이었던 레비 중위의 역할이 컸다. 

 

677고지 쪽에는 중공군 5천명과 캐나다군 500명이 대치하고 있었다. 캐나다 보병대대는 인해전술로 밀고 올라오는 중공군을 향해 사격을 가해 350명을 사살했지만 적은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캐나다군 고지를 향해 공격해 왔다. 급기야 중공군이 아군 진지까지 도달해 구름처럼 몰려들자 레비 중위는 본인의 목숨뿐만 아니라 부하들의 목숨까지 담보하고 결단을 내린다. 마침내 통신장교를 통해 작전지휘본부에 677고지 아군 진지 위로 포 사격을 요청한다. 

 

이 요청은 대대장 스톤 중령에게 전달되고 대대장은 이를 받아들여 즉각 여단 작전사령부에 요청해 뉴질랜드 제16 왕립포병여단이 아군 진지 위로 20분간 포 사격을 집중한다. 아군 진지 주변에서 마지막 돌격 명령을 기다리고 있던 중공군은 추풍낙엽이 되고 레위 중위로부터 포 사격 사전 예고를 받은 부하들은 갱도 진지와 바위 틈에 숨어 목숨을 구한다. 이윽고 677고지 5, 6분 능선에서 대기하고 있던 중공군이 또다시 공격해 오자 레비 중위는 2차 아군 진지 내 포 사격을 요청하고 성공시킨다. 중공군은 하룻밤 사이에 캐나다군 보병대대에 의해 350명, 그리고 뉴질랜드군 포 사격에 의해 1천명이 넘는 사상자를 내고 전의를 상실한 채 북쪽으로 퇴각한다.

 

가평전투는 이후 세계 전투사에 남을 명전투로 기록됐다. 또 전쟁이 끝나고 가평전투에 임했던 캐나다 대대는 트루먼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으며 캐나다 대대 장병들이 영연방 군인들의 최고 훈장인 십자무공훈장을 받았다. 하지만 레비 중위는 제외됐다.

 

50년이 지난 어느 날 박격포 소대장으로 가평전투에 참가했던 허브 그레이 중위는 가평전투에 대한 회고록을 쓰기 위해 자료를 조사했다. 그리고 가평전투 당시 통신장교였던 맬 캔필드가 기록한 자료를 우연히 보게 됐다. 거기에 대대장이었던 스톤 중령이 포상과 관련해 레비 중위에 대해 언급한 부분이 있었다. ‘유대인에게는 훈장을 수여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스톤 중령은 레비의 포 사격 요청을 자기에게 중간에서 전달한 윌리 밀스 대위를 십자무공훈장 수상자로 상신한다. 이렇게 레비의 무공은 묻혀 버린다.

 

오랜 세월이 지난 후 그레이가 레비 중위의 명예 회복에 나선다. 그리고 2003년 마침내 그의 무공이 세상에 알려지고 캐나다 총독으로부터 영광스러운 ‘그랜트 오브 암스’를 받았다. 그는 이순신 장군이 명량대첩에 앞서 언급했듯이 ‘생즉사(生則死) 사즉생(死則生), 즉 ‘살고자 하고 싸우면 죽고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면 산다’는 진리를 실천한 장교였다. 그는 아군 진지에 포 사격을 요청해 자신과 부하의 목숨을 구했다. 장교의 현명한 판단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준 사례다. 그는 1951년 중위에서 1974년 소령으로 예편할 때까지 23년간 진급도 두 단계밖에 하지 못했다. 하지만 인내하며 묵묵히 군인의 길을 걸었다. 그는 2003년 명예가 회복되고 4년 후 2007년 영면에 들었다. 진실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

 

● 외부 필진의 기고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