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분당 흉기난동’ 정신적 트라우마 주민 심리상담 84차례 지원

성남시청사 전경. 성남시 제공

 

성남시는 ‘분당 흉기난동’ 사건 관련 31명이 정신적 트라우마로 84차례의 재난 심리지원 서비스를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시는 사고 발생 직후인 4일부터 정신건강복지센터(신흥동 수정구보건소 5층)를 비상근무체제로 전환해 20일까지 17일간 심리상담 지원자와 건수를 이처럼 집계했다.

 

이 기간 정신적 트라우마에 대한 상담을 받은 이들(31명)은 대면(1건), 또는 전화(83건) 등으로 불안과 우울을 여러 차례 호소해 1명당 평균 2~3번, 많게는 13번의 심리지원이 진행됐다.

 

유형별로는 직접 사건을 목격해 트라우마를 겪은 주민이 23명, 간접적으로 소식을 접한 뒤 어려움을 호소하는 주민이 8명 등이다.

 

이 중 30명은 정신건강과 일상생활 기능을 전반적으로 평가하는 임상 인상 척도(CGI-S)가 총 7개 단계 중에서 ‘경도(3단계)’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별 맞춤형 심리적 응급처치를 진행했다.

 

다른 1명은 전반적 임상 인상 척도가 ‘경도-중등도(4단계)’로 나타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상담을 위해 의료기관으로 연계했다.

 

시는 이달 말로 예정된 정신건강복지센터의 비상근무체제 종료 후에도 재난 심리지원 서비스를 지속해 불안과 어려움을 겪는 시민의 일상 복귀를 돕는다는 방침이다.

 

한편 성남시 정신건강복지센터는 1999년 전신인 성남시 정신보건센터로 개관해 지난 2012년부터 분당서울대병원이 위탁 운영 중이다. 

 

현재 총 56명의 인력이 정신건강 상담과 홍보, 정신질환자 재활프로그램 운영, 자살 예방사업, 재난 심리지원 사업 등을 펴고 있다.

 

방문 또는 전화로 심리지원을 요청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 불안 등의 정신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