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적 없이 사라진 파주 용산리 임진강 ‘9·19대첩’

공로 인정 받은 대간첩작전 현장... 기념비도 없이 농지로 50년 방치
관계자 “동료들 전과 잊혀선 안돼”... 市 “답사 후 복원 등 검토하겠다”

image
김신조 일당이 1968년 1월21일 침투했던 연천군 고량포 루트를 알리는 표자판. 독자 제공

 

파주시 용산리 ‘임진강 갈대밭 대간첩작전 현장’이 농지로 50여년째 방치되고 있다.

 

이 때문에 연천군의 ‘1·21침투로’ 안보관광체험지처럼 복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7일 대한민국카투사전우회(KVA)와 파주시 등에 따르면 미2사단 소속 카투사 장병들로 조직된 대간첩중대(CAC)는 1968년 9월19일 오전 2시30분께 남방한계선을 넘어 진동면 용산리 임진강 갈대밭 감시초소 근처 철책선을 뚫고 침투하던 무장공비 5명을 발견했다는 미군 경계팀의 정보를 받고 현장에 출동했다.

 

앞서 이곳에선 8개월 전 김신조 일당이 1968년 1월21일 침투했던 연천군 고량포 루트여서 1971년 3월 말까지 휴전선 방어를 책임졌던 미2사단의 경계감시체계가 최고조에 달했다.

 

당시 영자신문인 인디언헤드(INDIAN HEAD)는 1968년 9월26일자에 “CAC는 공세를 퍼붓는 북한 무장공비 침투조를 사살하고 부상을 입혔다”고 머리기사로 다루며 이 작전을 집중 조명했다.

 

문관현 KVA 전 사무총장(‘임진스카웃’ 저자)은 “CAC가 미군 병력 없이 단독작전을 벌여 무장공비 4명 현장 사살에 1명은 북한 쪽 도주 후 사망 확인 등 전멸시켰다”며 “전역을 보름 앞둔 CAC 5소대 김상훈·박만득 병장이 산화하는 등 아군 9명의 사상자도 발생했다”고 말했다. 

 

연천군 장남면 반정리 294번지 일원 북한 제124군 소속 김신조 등 31명의 1·21 무장공비 침투로에 모형물과 철책선 등이 조성돼 안보관광체험지로 운영되고 있다. 독자 제공

 

임진강 갈대밭 압승 이후 캐그윈 미2사단장은 봉일천 캠프 하우즈에서 9·19대첩으로 평가하며 CAC에 공로 표창장 등으로, 한국 정부는 최고훈장으로 격려했다.

 

이처럼 미군도 최고의 전과로 평가한 임진강 갈대밭 대간첩작전현장은 현재 당시의 흔적은 사라지고 콩밭으로 개간 돼 잊혀지고 있다.

 

 KVA 측은 “파주 임진강 갈대밭에서 불과 150여m 떨어진 연천군 장남면 반정리 294번지 일원에 북한 제124군 소속 김신조 등 31명의 1·21무장공비 침투로 등을 모형물과 철책선 등으로 조성해 안보관광체험지로 공개하며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라고 말했다.

 

박기수씨(미2사단 카투사 DMZ 근무)는 “장병들이 목숨 걸고 싸웠던 9·19대첩 지역이 기념비 하나 없이 농지로 개간 돼 안타깝다”며 “동료들의 전과는 결코 잊혀져서는 안 된다. 복원해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파주시 관계자는 “구두 민원으로 복원 등은 현장 답사 후 추후 검토해 봐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