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도시철도지부 10월 파업 결의, 김포도시철도 운행 혼란 우려 총 사업비 80% 지분 있는 한강신도시 주민 의견 물어야
김포시의 ‘김포도시철도 민간위탁 차기운영자 선정 동의안’이 시의회에서 잇따라 부결(본보 9월14일자)된 가운데, 공공운수노조 김포도시철도지부(위원장 유성호·이하 김포도시철도지부) 소속 근로자들이 22일 오전 김포시청 본관 앞에서 김포골드라인의 불안한 민간위탁 운영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들은 이날 “지옥철 김포골드라인의 불안한 민간위탁을 김포시가 앞으로 5년간 또 다시 되풀이하려 한다”며 민간 재위탁을 반대하고 나서 내달로 예정된 시의회의 ‘김포도시철도 민간위탁 차기운영자 선정 동의안’ 재심의에 김포시가 어떤 안을 내놓을 지 주목된다.
특히 김포도시철도의 차기운영자를 선정하는데 절차상 시간이 촉박한 상황속에 김포도시철도지부가 10월 파업을 결의해놓은 상태여서 김포도시철도의 적지 않은 혼란도 예상된다.
김포도시철도지부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김포골드라인은 그동안 불안한 1인 역사근무, 비전공 업무를 지시하는 ‘통섭형 근무’, 유사 무인경전철 인천2호선과 비교해 현저히 적은 km당 유지관리 인력, 숙련된 직원이탈, 비용절감을 우선시하는 민간위탁, 시민 편의성 저하, 낮은 사업비 측정, 저가 경쟁입찰 유도로 적정비용으로 운영될 수 없는 문제 등 수없는 부작용을 낳아왔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같은 문제의 그 근본적 해결은 김포시가 책임지고 직접 운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라는 것을 ‘김포도시철도공단 설립 타당성 용역’ 및 ‘공단 설립 주민공청회’ 등을 통해 밝혀졌지만, 김포시는 김포도시철도공단 설립의 ‘부결’로 책임있는 태도를 외면하고 말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특히, “골드라인의 운영 방식은 김포시청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사안이다. 김포골드라인은 총 사업비의 80%(광역교통시설 분담금 1조 2천억원 입주민 부담)의 지분이 김포한강신도시 주민에게 있는 철도교통시설”이라며 “김포골드라인은 민간위탁 대상사업 적용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주민의 권리를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김포도시철도지부는 이에 “비용 우선 정책을 앞세워 끼워 맞추기 사업비 산정과 원칙이 무시된 채 추진되는 불안한 방식의 민간위탁을 명확히 반대한다”며 “중대재해 위험이 늘 도사리고 있는 김포골드라인은 공공성 강화를 위해 전반적인 개선이 절대적으로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민들은 목숨걸고 출근하며, 직원은 목숨걸고 일하는데, 중대재해가 발생한다면 김포시장에게 법적 책임이 없는지 반문한다”고 밝혔다.
한편, 내년 9월부터 5년간 김포도시철도의 민간 재위탁을 위한 김포시의 ‘김포도시철도 민간위탁 차기운영자 선정 동의안’은 추정가격 부족과 근로자 의견수렴 등의 이유로 지난 7월과 이달 14일 잇따라 시의회에서 부결됐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