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대성동마을 김경일 시장에 감사패… 57년만에 고엽제 피해 제도적 지원 공로

 

DMZ 유일한 대성동마을 김동구 이장(왼쪽에서 6번째) 등 대성동마을 주민 9명이 정부가 57년간 외면한 민간인 고엽제 피해자에 대한 각종 지원 조례 제정 등 파주시 행정에 감사함을 표하기위해 김경일 시장에게 감사패와 꽃다발을 전달하고 가념촬영을 하고 있다. 파주시 제공

 

“파주시가 지난 57년간 정부조차 외면한 대성동마을 주민들을 위해 전국 최초로 ‘고엽제후유증 민간인 피해자에 대한 지원 조례’ 제정 및 ‘보건진료소 이용시 본인 부담금전액 면제조례개정안’ 등을 시행해 준데 대해 감사함을 드립니다.”

 

추석 연휴를 하루 앞둔 지난달 27일 오전 파주시청 접견실에서 김동구 대성동마을 이장은 떨리는 음성으로 감사패에 적힌 문구를 읽어 내려 갔다.

 

김 이장 등 대성동마을 주민 9명은 이날 반세기 넘게 정부가 외면한 민간인 고엽제 피해자에 대한 각종 지원 조례 제정 등 파주시 행정에 감사함을 표하기 위해 시청을 방문했다.

 

2분여 남짓 감사문구를 읽는 내내 김 이장은 감격에 겨워 목이 메워 중간에 읽다가 멈추다가를 반복했다. 주민 8명은 회한에 잠겨 어깨를 들썩였다.

 

김 이장은 “접경 지역의 작은 마을도 소외됨 없이 민간인 고엽제 피해에 대한 지원을 해준 김경일 시장 덕분에 오랫동안 쌓인 한이 풀렸다”라고 마지막 문구를 맺자 참석자 누구나 할 것 없이 한동안 가슴 먹먹한 모습을 보였다.

 

이에 김경일 시장은 “파주시가 민간인 고엽제 피해자 실태를 조사하면서 주민의 85%가 고엽제로 인한 질환을 앓고 있는 현실에, 더 빨리 지원이 이뤄졌어야 하는 안타까움을 느꼈다”며 “분단과 대립이 낳은 고엽제 피해자의 희생을 기억하며, 지원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격려했다.

 

이어 “강원도 철원 등지 민간인 고엽제피해자에 대한 해당 광역·기초자치단체는 물론 정부에게도 지원과 보상이 확대해야 한다”고 고언을 아끼지 않았다.

 

대성동마을은 1953년 7월27일 정전협정 이후 일주일 뒤 8월3일 DMZ(비무장지대)에 유일하게 정부가 직접 조성했다. 대성동마을은 1967년 10월9일부터 1971년 12월31일까지 북한군의 대남침투경계를 위해 살포된 고엽제살포로 피해를 입었으나 민간인이라는 이유로 철저히 배제된 채 57년간 인고의 세월을 견뎌 왔다.

 

경기일보는 대성동마을 주민들의 이런 고엽제피해실태를 세상에 처음으로 알렸고, 김 시장은 “정부가 안한다면 지방정부라도 나서야 한다”며 관련 부서에 실태조사를 지시, 관련 조례 제정 등 후속조치가 이뤄졌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