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하반기 개원 목표
시흥시가 지난해 10월 지방연구원 설립기준이 50만 대도시로 완화되면서 추진해 온 시흥시 시정연구원 설립이 내년 하반기 개원을 목표로 가시화되고 있다.
이는 시흥시가 최근 시의회에 제출한 ‘시흥시정연구원 출연금 동의안’이 시의회를 통과하면서다.
3일 시흥시와 시흥시의회에 따르면 시는 올해 4월 시흥시정연구원 설립 타당성 검토 용역을 마치고 같은 해 8월 ‘시흥시정연구원 설립 및 운영 조례’를 마련했다.
이어 최근 끝난 시흥시의회 제310회 임시회에서 시흥시정연구원 출연금 동의안이 통과됐다. 소요 예산은 11억6천여만원으로 시는 내년도 예산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민법상 재단법인의 형태인 시흥시정연구원은 1실 4팀 1센터 정원 25명, 기본재산을 포함한 운영재산 11억6천여만원 규모로 공공청사 무상임차를 검토 중이다.
시는 올해 말까지 법인등기 및 법인설립 신고를 마치고 내년 초부터 개원 준비를 해 내년 말 본격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는 그간 인구 57만 대도시 시흥의 복잡·다양한 행정수요 및 정책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연구 전담기구(Think-Tank) 설치의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시흥시정연구원은 △시흥시 특성과 비전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연구 개발 △권역별 특화 및 연계하는 통합적 도시발전전략 수립 △연구용역의 자체수행 및 통합관리 △지속적 데이터 축적과 체계적 연구시스템 구축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개원 초기 연구과제로 민선8기 시정목표 및 추진전략 분석 및 주요사업 분석을 통한 시정 전반에 대한 이해, 인구 50만 대도시 특례 道이관 사무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 시정 주요 현안에 대한 분석 및 정책 제안 등이다.
또 데이터 기반 연구를 위해 사업별 데이터 수집 및 축적 관리, 시정발전을 위한 연구원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흥시 발전전략 수립 등의 역할도 담당한다.
시 관계자는 “유연한 조직, 단계적 확대, 네트워크형 조직 구성,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와 네트워커로써의 연구진과 정책연구플랫폼으로써의 연구원 구성 등 핵심적인 최소의 인원을 인소싱하고, 아웃소싱 또는 네트워킹을 통한 연구업무를 수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