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 증가로 소비력 감소… 경기 침체 유발 우려 과도한 대출 리스크 없게 부채관리 강화해야 전문가 “청년층 타기팅 금융 지원 필요” 제언
가계 부채의 증가세가 가팔라지는 가운데 어린 나이부터 빚을 지는 청년들이 점차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나이부터 쌓인 부채는 경제적 불안정으로 이어지면서 나이가 들어도 빚의 굴레에 빠질 수밖에 없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이들의 소비력 감소는 경기 침체까지 야기할 수 있어 청년층의 부채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9일 한국은행이 지난달 발표한 ‘2023년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를 보면 청년들의 가계 부채 부담과 연체율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2분기 기준 청년층의 가계대출 채무부담(LTI)은 262%로 지난 2019년에 비해 +39% 포인트 상승했다. 비교적 상환 능력이 뛰어난 중장년층(+35% 포인트)과 고령층(+16% 포인트)보다 더 높은 비율로 늘어난 것이다.
이처럼 채무부담이 커지면서 90일 이상 빚을 상환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취약차주(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 상태이거나 저신용자)와 잠재 취약차주의 연체율이 더 빠른 속도로 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우선 올해 2분기 일반 청년층의 연체율은 0.58%로 지난해 2분기(0.41%)보다 불과 0.17% 포인트 늘었다.
문제는 취약차주다. 같은 기간 취약차주의 연체율은 5.80%에서 8.41%까지 급증했다.
연체율뿐만 아니라 취약차주 비율 역시 가파르게 늘었다. 2021년 3분기 6.6%였던 취약차주인 청년층 비율은 올해 2분기 7.2%(0.6% 포인트↑)까지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다른 연령층의 취약차주 비중은 5.8%에서 6.0%까지 0.2% 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아직은 취약차주가 아닌 잠재 취약차주 비중 역시 가파르게 늘었다. 잠재 취약차주인 청년층 비율은 지난해 2분기 17.2%에서 올해 2분기 17.8%(0.6% 포인트↑)까지 높아졌다. 이 기간 다른 연령층의 잠재 취약차주 비중은 16.6%에서 16.9%로 0.3% 포인트 증가했다.
이와 관련 한국은행 관계자는 “청년층의 과도한 대출로 리스크가 커지지 않도록 부채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면서 “차주의 상환능력 심사 강화와 분할상환 대출 비중 확대, 일시상환 방식의 기존 대출에 대한 원금상환 유도 등이 대책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의 가계 부채 증가가 전반적인 경제침체를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이들을 타깃으로 한 금융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금리 인상과 함께 청년들의 고용 사정 악화, 주거 확보 문제 등이 겹치면서 20~30대를 중심으로 청년층의 빚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청년층의 빚 문제는 전반적인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청년층을 타겟팅하는 형태의 다양한 금융 지원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