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최다 생태계 교란생물은 '단풍잎돼지풀'

한강유역환경청, 분포도 공개

가시박, 가시상추, 단풍잎돼지풀, 도깨비가지, 돼지풀, 환삼덩굴, 서양등골나물, 배스, 미국쑥부쟁이, 미국선녀벌레(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한강유역환경청 제공

 

수도권에서 생태계교란 생물 중 가장 많이 분포된 종은 단풍잎돼지풀로 확인됐다.

 

미국쑥부쟁이, 가시박, 서양등골나물, 배스, 미국선녀벌레 등의 순으로 분포도가 높았다.

 

31일 한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수도권 생태계교란 생물의 체계적인 관리 및 제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9월부터 1년간 시행한 ‘수도권 내 생태계교란 생물 분포 현황 조사’ 용역 결과 이처럼 나타났다.

 

생태계교란 생물은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로 환경부가 지난 1998년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파랑볼우럭을 최초 지정, 고시한 후 현재까지 총 1속 36종이 지정돼 있다.

 

수도권 전역을 2㎞X2㎞ 정사각형 격자로 분할, 총 3천167개의 격자 중 생태 중요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846개의 격자를 선정해 식물·곤충 4천68곳, 양서·파충류 116곳, 어류 131곳 등을 각각 조사했다.

 

수도권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단풍잎돼지풀의 분포도. 한강유역환경청 제공

 

그 결과 생태계교란 생물 1속 36종 중 수도권에서 발견된 교란 생물은 24종으로 파악됐고 이 중 10종은 수도권 전역에 분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이 분포해 있는 종은 단풍잎돼지풀로 4천606곳 중 1천498곳에서 발견됐다. 이어 미국쑥부쟁이, 환삼덩굴, 가시박, 가시상추, 돼지풀, 서양등골나물, 배스, 미국선녀벌레, 도깨비가지 순으로 분포도가 높았다.

 

한강유역환경청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계교란 생물의 특성과 식별 형질을 정리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역별로 우선 관리 지역과 대상종을 선정, 교란 생물 관리 방안을 담은 보고서를 공개한다.

 

김동구 한강유역환경청장은 “이번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해 고유 생태계 보전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