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은행 등 인프라 못 갖춰 20~50대 인구 유입 3년간 전무 관광객 전년比 1천~2천명 감소
안산시 단원구에 속한 섬 풍도는 저출생·고령화 문제는 물론 생활 인프라 등이 열악하다.
갑자기 주민이 늘어나기도 힘들 뿐더러 이를 감당할 시설이 없어 마을 존립은 관광객 유치에 달려 있다.
하지만 교통도, 생활용수도 미흡한 상태여서 지금 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유인도’ 풍도는 가까운 미래에 ‘무인도’로 전락할 위기에 봉착했다.
11일 풍도어촌계와 풍도노인회 등에 따르면 풍도 주민 중 최고령자는 89세이며 최연소자는 51세다. 40대 이하 주민이 없고 전체 인구의 70% 이상이 70~80대다. 특히 20~50대 연령층의 새로운 인구 유입도 최근 3년간 없었다. 주된 원인은 정주하는 데 필요한 여건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데 있다.
주민 정금례씨(가명·72·여)는 “섬에는 미용실이나 약국, 편의점도 없다. 은행 업무를 한 번 보려면 바다 건너 육지로 가야 하는 게 너무 벅차다”며 “특히 은행 일은 요즘 다 휴대폰으로 본다지만 나이를 먹으니 방법도 모르겠다. 꼭 은행을 들러야 할 상황이면 답답해 현금자동입출금기(ATM)라도 있으면 소원이 없겠다”고 하소연했다.
택배도 마찬가지다. 섬에 우체국 집배원 1명이 있지만 업무용 차량과 사무실 등은 없다. 이 때문에 우편·택배 분류부터 배달까지 모든 과정은 그의 ‘개인 차량’에서 이뤄진다.
집배원 박일현씨(51)는 “주민들이 택배를 부치려면 통상 내륙보다 5천~6천원 요금을 더 내야 하고 택배 받는 데 1~2일 더 소요된다고 보면 된다. 악천후 등 기상 요인까지 겹치면 얼마가 걸릴지 모른다”고 설명했다.
주민 최선병씨(가명·70대)는 “육지에선 5천~6천원 더 싸게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을 거리가 멀다 보니 비용도 더 내야 하고 시간도 오래 걸리고, 여름이면 물건이 상해서 오기도 한다”며 “지자체가 지난 9월 한 달 정도 택배비를 5천원 정도 지원했는데 마트 등 필요한 물건을 살 곳이 없는 섬이어서 이런 지원이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렇다 보니 섬 안은 관광객이 와 편하게 묵을 수 있는 형편이 안 된다.
풍도 관광객 수는 지난해 9천580명에서 올해 9월 말 기준 7천148명으로 집계됐다. 통상 봄철 야생화를 보러 오는 관광객이 대다수인 점을 감안하면 여행객은 전년 대비 1천~2천명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관광객 정모씨(56)는 “아내와 함께 풍도를 찾았는데 날씨 때문에 배가 뜨지 않아 계획보다 2~3일 더 섬에 머물고 있다”며 “예정보다 길어져 회사에도 난처하고 편한 것도 없었다”고 말했다.
풍도 같은 섬의 인구 소멸을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은 섬 내 인구유입률을 늘리는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제4차 섬종합발전계획에 따라 전국 섬 개발을 위해 최근 10개년(2018~2027년)간 △주민 정주여건 개선(4천250억원·28.1%) △관광 활성화(2천814억원·18.6%) △교통 개선(2천487억원·16.4%) 등에 투자 초점을 맞췄다. 정주여건을 개선해 섬 내 체류 인구율을 높이거나 지속가능한 섬 관광산업을 발전시켜 인구를 유입하겠다는 구상이다.
김태완 한국섬진흥원 부연구위원은 ‘섬 인구감소 대응방안연구’ 보고서를 통해 “육지와 비교해 차별 없는 교통 등 기초 인프라 접근성에 대한 기본권 보장이 필요하고 주민과 섬 방문자가 살기 좋고 체류하기 편한 섬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