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등 2차 피해 발생 “사후 대책 방안 공유·확인을”
하남도시공사의 관리부실로 유출된 국민체육센터 강습프로그램 회원 개인정보가 일부 도용되면서 2차 피해가 우려된다.
이 때문에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특별감사 및 시의회 행정사무감사 등 특단의 조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앞서 공사가 운영 중인 국민체육센터 강습프로그램 수강생 6천658명의 개인정보가 유출(경기일보 11월27일자 인터넷)된 바 있다.
10일 하남시의회와 지역정가 등에 따르면 하남도시공사가 운영 중인 하남종합운동장 국민체육센터 회원 7천여명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관련, 일부 유출된 것으로 의심된 개인정보가 도용되면서 보이스피싱으로 되돌아오는 사례가 지역 정치권에 의해 확인됐다.
개인정보가 유출된 회원 A씨는 최근 발신처를 서울중앙지검이라고 사칭한 전화를 받고 즉각 보이스피싱으로 의심해 통화를 멈췄다고 주장했다.
그는 “‘성남쪽 사건과 관련됐다’는 등의 내용으로 잠시 당황했으나 관공서의 경우 개인번호로 전화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지하고 곧바로 보이스피싱으로 의심했다”고 말했다.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하남도시공사에 대해 특별감사 또는 행정사무감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시의회 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회원 개인정보가 유출된 하남도시공사를 상대로 행정사무조사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특별감사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민주당 강병덕 전 하남지역위원장과 추민교 전 경기도의원 등은 개인 SNS를 통해 공사에 대한 특별감사 등을 촉구하고 나섰다.
강 전 위원장은 “공사가 개인정보 유출 안내글을 공지하고 사과했지만, 그렇게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이는 개인정보가 사이버 범죄나 사기범죄에 악용될 수 있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라며 “개인정보가 이렇게 허술하고 소홀히 관리되고 있다면 공사의 다른 업무 신뢰성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에 면밀한 감사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추 전 의원은 “보이스피싱 전화 통화 사실이 확인된 만큼, 공사에 대한 감사 등 사후 대책방안 등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공유하고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