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이자 감당 힘들어”… ‘빚의 굴레’ 갇힌 인천 상인들 [현장, 그곳&]

가게 임대료 오르고 손님 발길 뚝... 연체 눈덩이로 불어나 생계 ‘막막’
2년 전보다 채무조정 신청도 급증 “재기 가능하도록 정책지원 필요”

image
경기침체로 신용회복위원회의 채무조정 신청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31일 인천 남동구 신용회복위 인천지부를 찾은 시민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조병석기자

 

“이제는 대출 이자조차 감당할 수가 없네요. 생명줄을 잡는 심정으로 채무조정을 해보려고 합니다.”

 

지난해 31일 오전 10시께 인천 남동구 신용회복위원회 인천지부 채무조정 상담실. 부평구에서 작은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A씨(45)는 창업 5년만에 1억원까지 불어난 대출을 더이상 감당하지 못해 결국 신용회복위를 찾았다. 창업 당시 3천만원이던 대출금은 올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가게 보증금과 임대료가 오른데다 경기침체로 손님마저 끊기면서 또 추가 대출을 받았기 때문이다. A씨는 “코로나19 3년을 겨우 대출로 버텼는데, 이젠 이자를 포함해 매월 갚을 120만원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지난해 남동구에 반려동물 수제간식점을 창업한 B씨(39)도 마찬가지. 올해 손님이 줄어들면서 창업시 대출받은 2천500만원이 10개월만에 무려 7천500만원으로 3배 늘어났다. B씨는 “빚에 빚이 더해지면서 이젠 생활비는 커녕 이자내기도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인천지역 영세 상인들이 올해 고물가‧고금리 등으로 인한 경기침체로 매출이 급감, ‘빚의 굴레’에서 벗어나질 못하는 한계 채무자가 급증하고 있다.

 

image
인천 상인들이 경기침체로 신용회복위 채무조정 신청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31일 인천시 남동구 신용회복위원회를 찾은 시민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조병석기자

 

신용회복위 인천지부에 따르면 채무조정 신청자는 지난달 기준 1만1천786명에 이른다. 앞서 지난 2021년 7천980명, 지난해 9천231명에 비하면 3년사이 47.6% 증가했다. 채무조정이란 빚이 많아 정상적인 상환이 어려운 사람들을 대상으로 상환 기간 연장, 분할상환, 이자율 조정, 상환유예, 채무감면 등을 해주는 것이다. 사실상 개인회생 직전의 저신용 시민들이 찾는다.

 

신용회복위 관계자는 “최근 들어 코로나19 때 대출을 받았던 영세 상인들이 계속 연체가 돼서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특히 신용회복위가 올해 채무조정 신청자에 대한 월 소득을 분석한 결과, 5천861명(49.7%)은 월 소득이 100만~200만원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영세 상인들이 최저임금 이하를 버는 셈이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3천528명(29.9%)으로 가장 많고, 이어 30대 2천891명(24.5%), 50대 2천402명(20.3%), 20대 1천543명(13.1%) 등이다. 60대 이상은 1천422명(12%)이다.

 

하준경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가 코로나19 때 영세 상인들의 폐업 등을 막으려 싼 금리로 대출을 받도록 해줬는데, 올해 경기침체로 이들이 더 버티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정부의 저금리 대환대출 등으로는 부족하다”며 “근본적으로 이들이 재기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더불어민주당 윤영덕 국회의원(광주 동구남구갑)은 “채무조정 신청자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고금리에 가계부채 위기가 현실화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이런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고 위기의식을 가져야한다”며 “지자체도 영세 상인에 대한 금융 상담 지원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신용회복위 관계자는 “올해 전반적으로 물가 상승, 금리 인상 등으로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많아 채무조정 신청자가 급증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익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대출이 있으면 곧바로 채무조정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