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지역 청년들 '주거'로 유입되고, '일자리'로 떠난다

최대호 시장 "연구결과 면밀히 검토해, 청년친화도시로 거듭날 것"

안양시가 지난해 11월 안양청년창업 공모대전을 개최하고 있다. 안양시 홈페이지 캡처
안양시가 지난해 11월 안양청년창업 공모대전을 개최하고 있다. 안양시 홈페이지 캡처

 

청년들이 안양시로 유입되는 1순위는 ‘주거’인 반면 안양시를 떠나는 이유 1순위는 ‘일자리’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안양시가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한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지속 가능한 청년친화도시 실현을 위해 청년이 안심하는 안양 ▲청년이 키우는 안양 ▲청년과 함께 성장하는 안양 등 5대 추진 방향과 청년주거・일자리・창업, 소통 참여 5개 분야의 69개 세부 과제가 제시됐다.

 

이번 용역에서 ‘주거안정과 안심주거’에 초점을 맞춘 시정에 따라 시로 유입되는 청년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시를 떠나는 이유의 1순위는 ‘일자리’로 조사돼 향후 시가 창업을 기반으로 다변화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는 방안이 제시됐다.

 

시의 청년 핵심정책은 주거 문제 해결과 주거공급, 주거비 부담 완화였다는 점에서 청년 정책이 현실적으로 맞아떨어진 셈이다.

 

신혼부부 대출이자 지원사업이 중요도와 성과 인식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는 점도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임대주택 및 분양주택 공급사업은 중요도가 높은데도 성과평가 인식이 평균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는 1인 가구에서 자녀 가구까지 맞춤형 주거를 공급하고 청년주거공급 확대, 창업지원주택, 지역 일자리와 청년의 연결, 여성 1인 가구 안심서비스, 원스톱 서비스센터 청년공간 지원 등 신규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특히 일자리 문제는 시 차원의 노력만으로 성과를 내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시가 창업 청년 인구 유입과 지역경제 활성화 등 창업 지원의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사됐다. 다만 경기 둔화 등으로 경기도 자체의 세수 확보에도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청년 복지나 일자리 지원 확대에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시는 월세 및 대출이자 지원 등 필수적인 소득지원 정책은 유지하고 저예산 서비스 사업 중심으로 청년 정책 수요를 충족할 사업을 발굴,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최대호 시장은 “청년정책은 안양의 미래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이번 용역에서 도출된 과제들을 면밀히 검토해 안양시가 청년친화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다양한 청년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