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지 옆 화병마다 조화 한가득...친환경 추모문화 정착 소극적 道 “별도 예산 없어 시·군에 권고”
“꽃집을 찾는 성묘객 10명 중 9명은 조화를 구입합니다.”
14일 오전 11시께 용인특례시 처인구의 한 공원묘지. 지난 설 연휴 동안 공원묘지를 찾은 성묘객들이 놓고 간 형형색색의 꽃들이 빼곡했다. 비석을 둘러싼 잔디 부분에는 조화를 사용해 꾸며 놓았고, 봉분 앞에 놓여 있는 알록달록한 꽃들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조화였다. 인근에서 꽃집을 하는 A씨는 “꽃을 사 가는 성묘객들 대부분이 조화를 선호한다”며 “생화는 빨리 시들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인 것 같다”고 전했다.
같은 날 광주시 능평동의 한 공원묘지도 마찬가지. 공원 내 조화사용을 금지한다는 현수막이 무색하게도 묘지 옆 화병들에는 플라스틱 조화가 가득 꽂혀 있었다. 성묘를 하기 위해 발걸음을 옮기는 사람들의 손에도 조화 꽃다발이 들려있었다.
전국적으로 친환경 추모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내 공원묘지는 여전히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플라스틱 조화가 가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전국 공원묘지에서 연간 1천557t의 조화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탄소 배출량은 4천304t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플라스틱 조화는 장기간 방치될 경우 미세플라스틱이 생성되면서 대기와 토양을 오염시킨다.
이에 경상남도 김해시와 창원시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공원묘지 내 플라스틱 조화 반입을 금지하거나 공원묘지에서 생화를 무료로 나눠주는 등 친환경 추모문화 정착 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반면 경기도는 이러한 움직임이 없어 플라스틱 조화가 없는 친환경 추모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노력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김현정 경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조화는 재활용이 불가능해 환경오염을 유발한다”며 “경기지역에서도 달라진 인식에 발맞춰 공원묘지에서 플라스틱 조화 사용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여줘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도에서는 다른 지자체에서 하는 캠페인 활동과 같은 홍보 예산이 따로 없는 상황”이라며 “공원묘지 관리 주체가 각 시·군이기 때문에 생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권고 정도만 하고 있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