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 없고 시의원실엔 천장 누수 안전 보강·보수 비용만 35억 넘게 투입 3천억 사업비 확보 어려워 6년째 ‘지연’ 열악한 환경에 피해는 오롯이 ‘시민 몫’
“인구 100만명의 특례시 청사가 맞습니까?”
고양특례시청을 처음 찾은 민원인의 반응이다. 시골 군청만도 못한 열악한 시설에 혀를 내두르기 일쑤다. 공무원들은 물론 고양특례시청을 방문한 대다수 시민의 한결 같은 반응이다.
사정은 이런데도 청사 신축은 늦어지고 있다. 애초 지난 2018년부터 청사 신축을 추진하려고 했지만 지난 6년 동안 시장이 바뀐데다 3천억원대에 이르는 사업비 등 재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지연됐다.
18일 고양특례시에 따르면 1983년 건립된 시청사와 지어진 지 31년 된 시의회 건물(신관) 관련, 지난 2000년 실시한 본관 안전진단 결과 D등급을 받았고 2013년 정밀진단에선 C등급을 받았다.
지난 2012년 10억7천500만원을 들여 옥상 및 외벽 방수공사와 실내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했고 최근 5년간 건물 보수 및 안전보강에 약 25억원을 지출하는 등 35억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됐다.
시는 안전을 위해 시청 본관 오른쪽은 3층을 철거하고 가벼운 가건물을 얹었다. 본관 왼쪽과 시의회 건물을 잇는 통로는 철빔을 세우고 덧대 보강했다.
이 때문에 시청 공무원은 물론 민원을 위해 찾는 시민들도 협소한 사무공간으로 외부 임대청사 근무와 노후한 건물 등으로 불편을 겪고 있다. 낮 12시가 되면 외부 청사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이 본관에 있는 구내식당으로 이동하는 행렬도 이어진다.
고양특례시청은 비좁은 주차장으로도 악명이 높다. 주차장은 오전 9시 이전에 이미 꽉 차 오후 6시 넘어서까지 빈 자리가 없다. 청사 주변 노상주차장까지 대부분 만석이어서 시청을 찾은 시민들이 주차할 곳을 찾아 시청 주변을 몇 바퀴 도는 건 흔한 풍경이다.
이런 가운데 시의 열악한 재정 상황 탓에 신청사 건립은 2018년이 돼서야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시청사 건립비용은 전액 시 예산으로 충당해야 하는데 총 사업비가 3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이재준 전 시장 때인 지난 2018년 신청사 건립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시작했고 지난 2019년 3월 신청사 건립기금 조례를 제정한 데 이어 그해 8월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회는 10차례 회의 끝에 지난 2020년 5월 주교동 공영주차장 일원, 대곡역 도시개발구역, 덕양구청 및 시의회부지, 주교동 행정타운 도시개발사업지역 등 후보지 네 곳 중에서 주교 제1공영주차장 부지를 신청사 건립 예정지로 확정했다.
신청사는 연면적 7만3천96㎡ 규모로 확정 당시 예상 공사비는 2천969억원이었다. 부지 확정 후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타당성조사, 경기도 지방재정투자심사, 국토교통부 사전 협의, 시의회 공유재산관리계획 등 단계별 행정절차를 2년 넘게 거쳤다.
신청사 건립은 지난 2021년 12월 신청사 국제설계공모 당선작을 발표하는 등 지금까지 68억원이 넘는 예산이 집행됐다. 당초 지난해 3월 착공해 내년 10월 완공이 목표였다.
지역에서 건설업체를 경영하는 A씨는 “처음 시청사를 방문했을 때 담당 부서가 있는 빌딩을 찾느라 정말 애를 먹었다”며 “여러 부서와 연관된 업무를 처리하려면 이 건물 저 건물을 왔다 갔다 해야 해 불편하고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고 호소했다.
장혜진 고양특례시 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은 “시청에 장애 공무원들이 적지 않은데 엘리베이터가 없어 걸어서 오르내려야 한다”며 노후 청사에 대한 답답함을 토로했다. 이어 ”가건물인 노조 사무실은 겨울에 수도가 얼어 물이 나오지 않고 아래층 시의원실은 비가 내리면 물이 새 양동이를 받쳐놓는다“며 열악한 근무환경을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노후하고 분산된 청사의 불편은 이용하는 시민들이 고스란히 겪고 있다”며 “주차 공간은 터무니 없이 부족해 시민들은 주차할 공간을 찾느라 시청 주변을 몇 차례나 돌아야 하고 사방에 흩어져 있는 시청의 부서들을 찾아 이 건물, 저 건물을 헤매야 하는 등 특례시라는 이름이 무색할 정도로 행정서비스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