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승연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아동돌봄광역지원센터장
최근 아동돌봄과 관련해 초등학교 내 늘봄학교 전면 설치 같은 정부 차원의 돌봄정책과 경기도 차원의 누구나, 언제나, 어디나 틈새 없는 전 방위적 360도 돌봄 같은 혁신적인 정책과 서비스가 시행됐다.
이렇게 높은 관심 속에 ‘돌봄 예산’을 늘리는 이유는 한국 사회가 심각한 저출생·고령화 문제,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와 인구 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한 돌봄의 공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기 때문이다. 돌봄의 문제는 이제 개인이나 가족의 책임이 아닌 돌봄의 사회화, 국가 책임이라는 인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공형 돌봄 정책과 제도가 보편적 서비스로 우리 삶의 현장에서 제대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민간 기관에 소속된 ‘돌봄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과 근로환경의 개선이 절실하다. 사람이 다른 사람을 돌본다는 것은 관계를 기반으로 한 대면 서비스로, 이 과정에서 겪어야 하는 고충은 다양하다. 돌봄 영역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에게 우리 사회는 아직 너무 인색하고, 그들의 노고를 당연하게 여기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봐야 할 때다. 노동 강도에 비해 지나치게 낮은 임금 문제, 교통비와 통신비 등 업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비용의 미지원, 돌봄시간 내 식사와 휴식시간 확보, 휴가 사용의 어려움, 돌봄근로자 대부분이 여성이므로 발생하는 성희롱 문제와 돌봄 근로 가치 저평가, 돌봄 신청자들의 갑질문화 등등 어려움이 많다.
누군가 내 사랑하는 가족을 돌봄으로써 우리에게 주어지는 사회·경제·문화적 가치와 효과는 엄청나다. 돌봄근로자가 우리들의 공백을 메워주지 않는다면 많은 가족 구성원이 일상생활 안에서 여유와 행복감을 느끼기 힘들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돌봄근로자의 어려움을 면밀하게 살피고 그에 상응하는 처우와 근로환경을 제공해 따뜻한 돌봄이 사회에 정착되게끔 인식과 제도의 대변환이 필요하다.
더 이상 돌봄은 아무나 하는 허드렛일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나와 가족이 하기 힘든 일을 맡아 서비스 하는 돌봄근로자들에게 박수와 감사한 마음을 전해보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