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3·1운동으로부터 대한민국 시작됐다

이지훈 경기역사문화유산원장

image

올해는 3·1운동 105주년이다. 3·1운동은 1910년대 일제의 가혹한 무단통치에 저항한 항일독립운동으로 한민족 운동사에서 가장 빛나는 역사적 사건이었다. 직접적으로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제의 폭압과 약탈에 대항해 일어난 전 민족적 운동으로 한말부터 이어진 항일운동의 역량을 결집한 것이었다. 세계적인 변화, 즉 제1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러시아혁명은 3·1운동을 결행할 수 있는 외적 원인이 됐다.

 

박은식은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서 3·1운동에 참여한 시위 인원은 200여만명이며 7천509명이 사망했고 1만5천850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4만5천306명이 체포됐다고 기록했다. 경기도에서는 4월 하순까지 2개월 동안 끊임 없이 시위운동이 벌어졌는데 전국 어느 지역보다도 격렬했고 많은 희생자를 냈다. 국사편찬위원회 자료에 의하면 경기도는 시위 건수 367회, 참여 인원 17만~20만명으로 전국 최다를 기록했다. 사망자 수도 최대 130여명에 달해 평안북도·남도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수치다.

 

경기도의 운동이 광범위하고 격렬하게 전개된 것은 농민들의 적극적 참여 때문이었다. 투쟁은 주로 만세시위로 시작됐지만 일단 세가 형성되고 열기가 고조되면 면사무소, 군청, 경찰관서 등을 공격하는 폭력투쟁으로 전화됐다.

 

3·1운동으로 일제의 폭압에 위축돼 있던 민족의식이 크게 고양됐고 독립을 위한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이를 통해 우리 민족은 ‘일본 제국주의에 항거한다’는 민족적 합의를 이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정치적으로나 법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비록 운동이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으나 향후 정부 수립의 근거로 작용했다. 임시정부는 기본적으로 대한민국의 건국과 정부 수립을 3·1운동의 산물로, 그리고 독립운동의 출발점으로 인식했다. 또 운동의 정신을 이어받아 임시정부의 이념과 노선을 ‘공화주의’로 집약했다. 실제로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3·1운동 정신을 계승했다는 문구는 지금까지 한번도 빠진 적이 없다.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은 ‘자주독립국가’와 ‘근대국가’ 건설의 대의를 ‘민족적 과제’로 만들었고 이를 전 민중에게 각인시켰다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은 지난 2017년 경기도 항일운동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이듬해부터 2년간 항일 독립운동과 관련이 있는 장소, 항일 운동가의 집터 등 121개소에 항일운동 안내판을 설치했다. 안내판이 설치된 유적지들을 다녀보면 일제강점기 당시 사람이 많이 모여 사는 도심뿐만 아니라 산 능선의 비탈길 등 경기도 곳곳에서 항일운동이 전개됐음을 새삼 알 수 있다.

 

3·1운동이 힘차게 벌어졌던 시기인 3~4월에 가족·지인과 함께 경기도의 항일독립운동 유적지를 찾아 민족적 단결과 투쟁의 숨결을 느껴보면 어떨까.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