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서축을 흐르는 국가하천인 ‘목감천’의 명칭이 ‘광명천’으로의 변경이 추진된다.
수도권 서부권역 정체성을 확립하고 행정의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광명시는 관할구역의 서측을 관통하고 있는 목감천의 이름을 광명천으로 변경하는 것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목감천은 광명과 시흥, 서울 구로 등지를 경유해 안양천으로 흐르는 총 연장 12.3㎞의 국가하천이다.
목감천이라는 명칭은 시흥 목감동에 위치한 630고지에서 발원했다는 주장에 따라 유래됐지만 이 지역에는 630m에 이르는 산이 없다.
향토사학계에 따르면 1980년대까지는 광명 학온동과 시흥 과림동 주민들은 모두 ‘냇깔’로 부르다 현재의 명칭인 목감천으로 변경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목감천은 역사적 사료나 근거도 없이 광명시와의 공론화 과정도 거치지 않고 수십년 동안 관행적으로 불려 왔다.
이로 인해 각종 문헌이나 인터넷, 각종 보고서 등에도 관례적으로 목감천이라는 명칭이 차용돼 행정의 혼선을 빚었다.
특히 도로명 주소의 경우 광명 광명동 일원은 목감로, 시흥 목감동은 목감중앙로, 목감우회로, 목감둘레로 등 유사한 명칭을 혼용하고 있어 홍수 및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신속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향후 광명·시흥 신도시가 조성되면 주민 피해는 더욱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리적 특성을 보더라도 광명은 12.3㎞ 전 구간을 경유하는 반면 시흥이나 구로 등지는 일부 지역에 불과하다.
홍수 유발지역(시흥)과 피해지역(광명)의 불일치 ▲시민들의 이용 빈도수 ▲국책사업 기여도(국가하천 승격, 홍수조절지 등) ▲지자체 관심도(목감천 명소화사업, 광명시 올레길 등)를 고려할 때 변경의 필요성은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박승원 시장은 “시민들과 함께 수십년 동안 관행적으로 쓰인 잘못된 명칭을 바로잡고 도시 정체성과 브랜드 제고를 위해 반드시 광명천으로 명칭을 바꾸겠다”고 밝혔다.
향후 시는 역사성, 인문·지리적 대표성, 시민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하천명 ▲지명 ▲도로명을 환경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에 각각 명칭 변경을 요구할 예정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