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의회가 하남시 감일동 소재 동서울변전소 전력 증설 건이 옥내화 명분에 가려져 주민의견 수렴 과정에서 철저히 배제됐다며 한전과 하남시 등 사업 주체를 강하게 성토했다.
앞서 감일동 주민과 초등생 1천200여명은 지난 21일 동서울변전소 증설에 반발하며 사업 철회를 넘어 변전소 이전 등을 요구하며 거리 집회(경기일보 21일자 인터넷)에 나섰다.
정혜영 시의원은 23일 오전에 개회된 하남시의회 제332회 임시회 1차 본회의 중 5분 자유발언을 통해 한전이 추진 중인 동서울변전소 증설 계획이 주민 동의 없이 이뤄졌다며 사과와 함께 즉각 철회를 촉구했다.
정 의원은 “감일동 동서울변전소는 1979년 준공돼 동해안 발전전력을 수도권으로 연결하는 중추적 관문 역할을 해왔으나 감일지역은 현재 약 3만2천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주거 밀집지역으로 변모했다”면서 “주민들은 그간 변전소 소음과 도시미관 저해, 전자파 발생우려로 시설 옥내화를 요구하면서 지난해 10월 시와 한전이 업무협약 체결 등으로 관련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사업은 옥내화를 위해 건축 연면적을 10배 가까이 늘리고 전력 또한 교류 345kV에 직류 500kV를 추가, 현재의 3.5배인 초고압 변전소로 증설하는 내용이지만 현재까지 시설 옥내화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서 “주민과의 만남에서 증설 언급이 없어 변전소 증설 계획에 대해 알 길이 없었고 심지어 의원들 조차도 인지할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그러면서 “시설 옥내화라는 달콤한 사탕발림 뒤에 숨겨져 있던 청천벽력 같은 변전소 증설 소식에 주민들은 한전과 하남시를 향해 분통을 터트리며 거리 투쟁에 나섰다”면서 “시와 한전은 주민을 속인데 대해 즉각 사과하고 사업 관련 인허가 절차를 즉각적 철회 및 입지 선정과정과 협약 내용 등을 상세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하남시의회는 4일간 일정으로 후반기 첫 임시회를 열고 의원 발의 조례안 등 12건, 집행부가 제출한 ‘미사5중(가칭 한홀중) 영구시설물 축조 동의안’, ‘2030 하남시 경관계획(안) 의견청취안’ 등 총 17건의 안건에 대한 심의에 돌입했다.
특히 본회의에서는 임희도 의원이 발의한 ‘강동하남남양주선 광역철도– 완행열차 운행 연장 및 일부 구간 우선 착공 촉구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가결됐다.
금광연 의장은 “시민중심 의회, 품격있는 의회, 약자와 동행하는 제9대 후반기 하남시의회가 될 수 있도록 시민 여러분의 변함없는 성원과 응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