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가 구도심 재구조화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뉴타운사업 해제 지역 등 기반시설이 열악하고 노후·불량 건물이 밀집한 지역에 대한 체계적이고 신속한 재개발·재건축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들 사업은 김동근 시장의 공약이다.
재개발사업은 정비 기반시설이 열악하고 노후·불량 건물이 밀집한 지역의 주거환경 개선이 목적이다. 재건축사업은 정비기반시설을 갖췄지만 노후·불량 건물에 해당하는 공동주택 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한다.
재개발·재건축사업의 총 구역 면적은 131만9천934㎡, 계획 가구수는 2만5천595가구다. 기존 추진 사업은 10곳(완료 여섯 곳, 진행 네 곳)이고 가능·신곡동 등 기반시설이 부족한 노후 주거지 13곳은 신규 구역으로 지정하거나 정비계획을 수립 중이다.
시는 신속한 정비사업 실행을 위해 ▲‘2035 도시·환경정비 기본계획’ 수립 ▲실무협의회(관계부서)를 통한 정비계획 수립 ▲재건축 안전진단 비용 지원(1회)으로 주민 부담 완화 ▲정비사업 행정절차 기간 간소화 등을 추진한다.
‘2035 도시·환경정비 기본계획’은 구도심의 계획적 정비를 통해 난개발을 방지하고 주민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해 신·구도심 조화와 지역 균형발전 실현이 목표다.
공간적 범위는 도시지역 내 구시가지 일대 10㎢다. 과업 내용은 도시정비사업의 기본방향, 인구·건축물·정비기반시설·지형 및 환경 등 현황, 토지이용계획·정비기반시설계획·공동이용시설 설치계획 및 교통계획 등이다. 정비예정구역의 개략적 범위, 단계별 정비사업 추진계획, 건축물의 건폐·용적률 등 밀도계획도 담았다.
주민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재건축 안전진단 비용으로 연 300만원을 1회 지원한다. 대상은 준공 후 30년 경과한 공동주택 중 재건축 안전진단을 요청한 곳이다. 지원은 경감 기준에 따라 차등 지원하며 도·시비 40%, 자부담 60% 등이다.
여기에 정비사업 행정절차 간소화 방안으로 주민 의견 청취를 공람·시의회 의견 청취 등으로 병행했다. 이 경우 당초 100~150일이 소요되던 의경 청취 일정을 20일 이상 단축할 수 있다. 정비구역 지정 이후 절차인 추진위원회 구성 및 조합설립 단계도 주민 간 분쟁 최소화와 적극적인 행정 지원을 위해 ▲정비사업 조합설립추진위원회 설립 동의서 연번 부여 세부기준 ▲조합설립 공유지 동의 업무기준 등을 마련해 시행 중이다.
공유지 동의 절차도 개별 부서 별도 협의를 도시재생과로 일원화하고 사업시행단계 통합심의(도시·교통·환경·건축·경관)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할 예정이다.
이 밖에 주민 이해를 위한 정비사업 안내 책자를 제작, 민원실 및 동 주민센터 내에 비치하고 관내 도시정비사업조합 및 추진위원회에 배포하고 있다.
김동근 시장은 “걷고 싶은 도시, 내 삶을 바꾸는 도시 조성을 위해 기반시설이 열악한 구도심 노후 택지 재개발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