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드림센터’ 이용 인원 고작 7.6%... 한정적 프로그램에 이마저도 감소 사업 예산 늘려 대상자 확대해야
인천의 ‘학교 밖 청소년(학업중단)’ 10명 중 고작 1명 정도만 각종 지원 정책의 혜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안팎에선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사업의 예산 확대 등을 통해 대상자를 넓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4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의 학교 밖 청소년 1만5천752명 중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센터)를 이용하는 인원은 1천200여명(7.6%)에 불과하다. 꿈드림센터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상담·교육지원, 직업체험 및 취업지원, 자립지원 등을 하는 기관이다. 현재 인천에는 중·동·연수·미추홀·남동·부평·계양·서구 등 모두 9곳의 꿈드림센터가 있다.
그러나 부족한 예산과 한정적인 프로그램으로 인해 활성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해 인천의 꿈드림센터를 이용한 학교 밖 청소년은 1천201명으로 지난 2021년에 비해 161명 줄었다.
미추홀구 꿈드림센터에서 만난 A양(19)은 “지난해 엑셀이나 파워포인트(PPT) 등 컴퓨터 교육을 배우고 싶었는데, 참여 인원이 없어서 강의조차 열리지 못했다”고 했다. 이어 “좋은 프로그램이 있어도 참여하는 학생들이 없으니 프로그램 수도 줄고, 질도 떨어질 수 밖에 없어 아쉬움이 크다”고 덧붙였다.
특히 각 군·구별로 예산이 다르다보니 프로그램 수준이나 개수 등도 천차만별이다. 부평구(6천900만원)와 중구(6천300만원), 연수구(4천100만원), 서구(3천300만원) 등의 순이다. 계양구·미추홀·남동구는 2천500만원, 동구는 1천700만원에 그친다.
이 때문에 각 센터들은 검정고시나 대학입시에 필요한 교육지원의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고 인식개선사업과 다양한 적성에 따른 특화사업 등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센터 활성화를 위한 홍보 사업도 활동집 배부와 홍보 물품 제작에만 그치고 있다. 여기에 센터들은 학교 밖 청소년 지도사 1명의 담당 인원이 적게는 20명에서 많게는 50명까지 인력 부족에도 시달리고 있다.
한 센터 관계자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사회시스템에서 벗어난 만큼 오히려 맞춤형 교육이 필수적”이라며 “예산 증액은 물론 전문성 있는 선생님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학교 밖 청소년들의 각종 욕구들을 충족시켜줄 곳으로 자리잡아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학교에서 학생들이 자퇴를 결정할 때 지원센터에 대한 소개 및 연계 등의 과정이 필수적으로 이뤄지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