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 등으로 '전기차 포비아'가 확산하는 가운데, 안양시가 버스공영차고지에 전국 최초로 '자동식' 질식소화포를 도입했다.
26일 시에 따르면 시는 4천400만원을 들여 관내 전기버스 25대가 이용하는 비산동 버스공영차고지에 자동식 질식소화포를도입하고, 지난 25일 화재 진압 시연 및 화재 대응 훈련을 실시했다.
비산동 버스공영차고지는 안양에서 유일하게 대중교통차량(버스)의 전기 충전시설이 설치된 버스공영차고지로, 전기버스 25대를 포함해 시내버스 총 74대가 사용하고 있는 버스공영차고지이다.
전기버스는 버스 상부에 배터리가 설치돼 있어 물이 침투하기 어렵고 사람이 직접 차량을 질식소화포로 덮어 화재를 진압하기 어려운 구조로, 초기 화재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이런 구조적 취약점을 보완한 자동식 질식소화포는 사람이 화재 구역에 가까이 가지 않고 리모컨을 통해 화재 구역을 덮어 산소를 차단할 뿐 아니라, 소화수 주입구를 통해 내부로 소화수를 주입할 수 있다.
이번에 시가 도입한 자동식 질식소화포는 이동식 설비로, 화재가 발생하면 질식소화포를 덮고 소방차 소화전에 연결, 소화수를 주입해 불을 끄는 방식이다.
대형 화재로 번질 수 있는 변수를 차단해 전기버스 화재의 초기 대응에 신속성을 극대화한 화재 진압 장치다.
방장원 호서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전기버스가 열 폭주하면 연소 확대 위험성이 큰데, 질식소화포를 덮어준다면 일단 연소 차단 효과가 있다”며 “여기에 물까지 부어준다면 열기가 어느 정도 식을 수 있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는 버스공영차고지를 운영하는 안양도시공사와 화재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관내 버스공영차고지의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질식소화포 사용법 등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최대호 시장은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전기차 안전 종합대책을 포함해 시 차원의 모든 대책을 강구하고 있고 이번 자동식 질식소화포 도입은 공공 안전 관리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라며, “첨단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등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