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력은 명나라의 역법(曆法)으로 고려 말인 공민왕 19년(1370년) 수입돼 조선 효종 4년(1653년) 시헌력을 채용할 때까지 근 300년간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역법이다.
이 경진년 대통력은 모두 15장으로 구성돼 있다. 그중 첫 장은 정월에서 12월까지 윤4월을 포함한 13개월의 24절기에 관한 내용과 연신방위지도이고 제2∼14장은 책력의 본체인 1월에서 12월까지의 월력이다. 달력에는 날짜별로 일상생활에서 그날그날 하기에 좋은 일과 하면 좋지 않은 일을 기록하고 있다. 마지막 제15장은 부록격으로 간지별로 피해야 할 일들을 열거한 부분과 이 책력의 편찬, 인쇄에 관여한 사람들의 이름이 적힌 목록이다.
경진년 대통력은 관상감에서 활자로 찍은 임진왜란 이전의 역서로는 유일한 것이다. 또 관상감 인력자(印曆字)로 찍어낸 책 중 가장 앞선 것으로 조선시대 활자 및 서지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다. 국가유산청 제공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