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을 열면서] 계절에 따른 식생활

미래 식품산업 방향 ‘편의·안전·기능성’
제철 재료로 세시음식 즐기는 食문화
자연과 공존... 지속가능한 미래 그려

image
송원경 식생활연구가

못생긴 농산물을 정기 구매하고 있다. 개성 있는 무농약 제철 채소가 오니 계절을 알 수 있어 좋다. 품질 좋은 농산물이 못생겼다는 이유로 폐기되지 않고 착한 소비를 통해 지구를 살린다 하니 기분도 좋다.

 

오늘 배송받은 박스에는 냉이가 들어 있다. 매섭게 추운 날 봄의 전령사 냉이를 접하니 반가웠다. 절기 중 소한과 대한 사이가 가장 추운데 혹한 속에서도 언 땅을 뚫고 와 줬으니 자연의 힘이 느껴진다. 조심스럽게 냉이를 손질하며 마음이 설레니 봄이 오긴 오나 보다. 마지막 절기 대한이 지나면 설 이후 자연의 시작을 알리는 새해의 첫 절기, 입춘이 온다.

 

새해를 시작하기 전에 습관적으로 하는 일이 다양한 기관의 자료를 살펴보며 트렌드를 정리하는 것이다. 미래 식품산업 방향의 키워드는 ‘편의성, 안전성, 기능성’으로 갈 것이며 전통식품의 고부가가치화, 기능성식품, 간편식품 개발 추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의식주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는 ‘자연과 기술의 융합, 개인화,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음식과 로봇, 첨단 기술이 만나는 푸드테크의 시대에서도 식품 트렌드는 건강과 영양을 기본으로 K-푸드, 전통성, 지속가능성을 공통적으로 꼽는다.

 

글로벌 식문화 안에서 세분화되는 개인의 가치를 추구하며 지속가능성을 실천할 수 있는 식생활은 무엇일지 생각해 본다.

 

전통적으로 농경문화였던 우리나라는 절기에 따른 계절의 변화에 맞춰 생활의 질서를 이어가는 세시풍속이 있었으며 제철에 나는 재료를 이용해 특별한 세시음식(歲時飮食)을 만들어 왔다.

 

세시음식은 한 해의 절기나 계절에 나는 식재료를 이용해 세시풍속일에 먹는 음식이다. 보통 세시음식은 시절음식이라 해 ‘무엇을 언제 먹으면 어디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설날에 떡국을 먹고 대보름에 오곡밥을 먹는 풍습 같은 절식(節食)과 가장 맛있는 시기의 재료를 먹는 시식(時食)은 사계절의 영향을 받아 자연스럽게 형성돼 온 전통적인 식생활문화다.

 

이런 자연의 흐름을 따르는 식생활을 위해 이십사절기를 챙겨보자. 이십사절기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눠 정한 날들이다.

 

농사에서 씨를 뿌리고, 가꾸고, 수확하는 주기를 알려주는 달력으로 활용됐지만 지금도 계절의 흐름에 맞춰 실천하면 생활리듬을 조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마트팜과 냉장 배송으로 연중무휴 모든 재료를 구할 수 있는 세상이지만 2주 단위로 절기를 느끼며 자연의 리듬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계절이 바뀌어 있다.

 

바쁘고 여유 없는 일상 속에서 절기에 따른 식재료와 풍습으로 작은 이벤트를 만들고 소소하게 채워 나가다 보면 삶이 얼마나 낭만적이고 행복한가. 제철 재료가 나오는 시기에 맛있는 밥상을 준비하고 식재료를 핑계 삼아 시기에 맞춰 지인들과 음식을 나누면 충분히 즐거울 것이다.

 

추우면 추운 시간, 더우면 더운 시간 등 순환하는 계절의 변화를 존중하고 이십사절 절기를 따라 자연의 시간을 챙기면 우리 삶은 더욱 풍요로워질 것이라 확신한다.

 

자연의 시간이 생산하는 재료를 통해 지혜로운 소비를 알고 자연과 공존하는 작은 실천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