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인공지능 제조 혁신 지원 조례안’ 입법예고 AI 제조 도입 컨설팅·국내외 협력 증진 등 추진 “지자체서 지속적으로 관리할 통합지원센터 필요”
경기도내 중소 제조기업은 인력과 예산이 부족한 만큼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을 위해 경기도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요구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에 경기도의회가 도내 중소 제조기업의 인공지능 기술 혁신을 강화하기 위해 나서면서 도내 중소 제조기업의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7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의회는 지난 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인공지능 제조 혁신 지원 조례안’(대표발의 전석훈)을 입법예고 했다. ‘인공지능 제조’란 인공지능 기술을 제조업 과정에 적용해 생산성과 효율성 등을 향상하는 것을 말한다.
해당 조례안은 도내 중소 제조기업들이 인공지능 제조 도입에 필요한 자본이나 인력이 부족함에 따라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의됐다.
조례안에는 도내 중소 제조기업의 기술 혁신을 위한 계획 및 지원사업이 담겼다. ▲인공지능 제조 도입 컨설팅 및 기술 지원 ▲인공지능 제조 관련 장비와 소프트웨어 도입 지원 ▲인공지능 제조 관련 시범 사업 추진 ▲인공지능 제조 관련 국내외 교류 및 협력 증진 등이다.
또 이를 위한 지원 센터를 설치하도록 하고, 인공지능 제조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도록 했다.
전석훈 의원(더불어민주당·성남3)은 “인공지능은 미래 시대의 필수적인 기술이 됐다”며 “제조업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면 기업의 제조 운영 과정에서 수집한 데이터의 활용성이 높아지고, 이를 바탕으로 재고관리, 작업장 안전 개선 등이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도내 중소 제조기업의 경우 인공지능 기술을 습득할 기회도 부족하고 비용 등의 문제로 장벽에 부딪혀 있다”며 “경기도는 제조업 비중이 높은 지역인만큼 경기도가 정책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인공지능 기술이 중소 제조기업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지자체에서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지원 센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병호 고려대 인공지능 연구소 교수는 “인공지능 기술이 산업현장에 도입되면 성과는 금세 나타나겠지만, 이것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관리할 것이냐 하는 문제가 있다”며 “데이터 관리와 시스템 개선뿐 아니라 인공지능 기술의 이해도가 있는 직원을 주기적으로 교육시켜야 하기 때문에 단발성 지원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제조 분야별로도 인공지능 기술 지원 분야가 세분돼 있는 만큼 이를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지원 센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관련기사 : “AI 키우기 참 힘들다” 허리휘는 중소 제조업 [집중취재]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217580366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